[데일리매거진=우태섭 기자] 서울 아파트 값에 비상등이 켜지면서 부동산관 건설업계가 긴장을 하고있다.
그동안 2년 가까이를 하락없이 상승하거나 보합했던 서울 아파트 값이 12월 들어 하락세로 돌아섰기 때문이다.
이는 지난 2014년 12월 이후 100주만이다. 11.3 부동산대책 이후 관망세가 이어지면서 서울 재건축 아파트가 가격 하락을 주도했다. 서울 재건축 아파트는 5주째 하락세다.
4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이번 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주간 0.02% 떨어졌다. 11.3 부동산 대책 영향과 정국 혼란 등으로 거래가 크게 위축되면서 재건축 아파트가 0.29% 하락했고 일반아파트는 0.03%로 소폭 올랐다.
신도시와 경기.인천도 매수심리가 얼어 붙으면서 각각 0.02%, 0.01% 오르는데 그쳤다.
서울 매매시장은 강남4구 재건축 아파트 가격이 가격 하락을 주도했다. ▲송파(-0.21%) ▲강동(-0.14%) ▲강남(-0.09%) ▲서초(-0.07%) 등이 하락했다. 반면 ▲강서(0.08%) ▲구로(0.08%) ▲마포(0.08%) ▲서대문(0.08%) ▲영등포(0.08%) 등 서울 도심 가까운 지역이나 비교적 아파트값이 저렴한 지역은 일부수요가 이어져 소폭 올랐다.
신도시는 일부 중소형 매물이 거래되면서 소폭 오름세를 이어갔다. ▲산본(0.09%) ▲중동(0.05%) ▲평촌(0.03%) ▲파주운정(0.03%) ▲동탄(0.02%) ▲일산(0.01%)이 상승했다.
경기·인천은 ▲광명(0.06%) ▲의정부(0.04%) ▲하남(0.04%) ▲화성(0.04%) ▲김포(0.03%) ▲의왕(0.03%) 등이 올랐고 ▲광주(-0.06%) ▲파주(-0.03%)는 내렸다.
전세의 경우는 서울이 ▲은평(0.37%) ▲영등포(0.21%) ▲강남(0.11%) ▲금천(0.10%) ▲동대문(0.10%) ▲서대문(0.08%) 등이 올랐다. 반면 수요가 크게 줄어든 ▲강동(-0.06%) ▲성동(-0.04%) ▲도봉(-0.04%) ▲서초(-0.01%) 등의 지역이 하락했다.
신도시는 본격적인 겨울 비수기를 맞아 전세 수요도 줄어 전셋값 상승 역시 미비한 것으로 조사됐다. ▲동탄(0.05%) ▲평촌(0.03%) ▲분당(0.02%) ▲파주운정(0.01%) 등이 올랐고 일산은 0.04% 하락했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