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매거진=이재만 기자] 300인 이상 대기업 취업자가 7년만에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반면 종사자 1∼4인 규모의 영세기업 취업자 수는 3년여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늘어나면서 대조를 이뤘다. 전체 취업자 수는 늘고 있지만 청년들이 선호하는 '질 좋은 일자리'의 사정은 나빠지고 있다는 의미다.
31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2분기 300인 이상 대기업 취업자 수는 246만3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분기보다 2만5000명 감소했다.
이는 2010년 3분기 8만4000명 줄어든 이후 27개 분기(6년 3분기)만에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든 것이다.
2012년 2분기 이후 한 분기도 거르지 않고 증가하던 대기업 취업자는 지난해 1분기 16만1000명 늘어나며 정점을 찍었다.
하지만 지난해 4분기 증가 폭이 2만명까지 줄어들며 증가세가 급격하게 둔화됐다. 올해 1분기에는 1만8000명 줄며 5년 만에 마이너스로 전환했고 2분기에는 감소 폭을 더 키웠다.
상대적으로 일자리의 질이 좋은 대기업 취업자 수는 줄고 있는 반면, 열악한 환경에 놓인 1~4인 영세기업 취업자는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다.
2분기 중 1~4인 기업 취업자 수는 987만2000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만7000명 증가했다. 2014년 1분기 19만6000명이 증가한 이후 13분기만에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한 것이다. 1~4인 기업 취업자 수는 지난해 2분기 21만8000명 감소한 이후부터는 매 분기 증가폭을 키워나가고 있다.
대기업 고용인원이 축소되는 것은 대기업의 상당수를 차지하는 제조업이 최근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제조업 취업자 수는 지난달 1만6000명 증가하며 지난해 6월 이후 처음으로 플러스 전환했지만, 2분기 기준으로는 여전히 전년 동기 대비 2만3000명 감소한 것이다.
자영업자도 지난해 말보다 증가세가 주춤하지만 여전히 늘고 있다. 2분기 자영업자는 567만3000명으로 전년 동기대비 6만6000명 증가했다. 늘어난 자영업자 중 79%(5만2000명)가 고용원이 없이 혼자 일하는 자영업자다. 자영업자는 지난해 3분기 5만2000명 증가하며 1년 반만에 플러스 전환한 뒤 4분기 연속 증가 추세다.
한편, 통계청 관계자는 "대기업 고용상황이 좋지 않은 것은 제조업, 금융·보험업 등 덩치가 큰 기업의 고용상황이 완전히 회복되지 못한 영향이 있다"라며 "고용시장이 다소 나아지는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여전히 질적으로는 미흡한 모습"이라고 말했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