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김학용 자유한국당 의원 [출처=다음]
[데일리매거진=김영훈 기자] 자유한국당 김학용 의원은 11일 바른정당 이혜훈 전 대표가 금품수수 의혹 및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로 당 대표직을 자진사퇴 하면서 당내 대표적 자강론자인 유승민 의원의 구원 등판론에 힘이 실리고 있는데 대해 “별로 바람직스럽지는 않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이날 YTN 라디오 ‘신율의 출발 새아침’과의 인터뷰에서 “좀 안타깝다”며 이와 같이 밝혔다.
그는 “누가 그런 얘길 하더라”라며 “전쟁이나 난리통에는 부모형제도 헤어진다고 하는데, 이제 일정 부분 안정도 됐고, 대선도 끝난 지 꽤 됐으니 만큼 소위 같은 생각을 가지고 같은 뿌리인 바른정당 분들과 자유한국당이 힘을 합쳐 문재인 정부의 잘못된 점에 대해 국민들을 대신해 제대로 비판할 수 있는 건전 비판 세력, 그리고 미래 수권세력을 만들어 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것은 하고 안 되고의 문제가 아니라 반드시 해야 할 보수의 명제”라며 자유한국당과 바른정당의 통합을 강조했다.
‘보수야당이 통합하기 위해선 박근혜 전 대통령의 출당 문제가 중요하지 않느냐’는 사회자의 물음에 김 의원은 “대통령 본인을 위해서도 그렇고 대통령이 조금이나마 애정이 남아있으시다면 자유한국당과 보수를 위해서라도 박 전 대통령께서 자진탈당해주시는 것이 저는 훨씬 더 여러 가지 측면에서 적절하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바른정당 김무성 고문과 한국당 정진석 의원이 만든 ‘열린 토론, 미래’ 공부모임이 정계개편의 불씨가 될 수 있다는 분석에 대해서는 “그건 좀 너무 나간 것 같다”며 “다만, 그런 모임이 필요한 것이 현재 보수가 결집해야 하는데, 그런 것이 되기 위해선 어떤 소위 정지작업, 그리고 사전에 의견을 조율하고 보수의 가치를 같이 나눌 수 있는 자리가 필요하기 때문에 공부모임은 앞으로도 활성화됐으면 하는 생각을 갖고 있다”고 밝혔다.
한국당이 정기국회 의사일정 보이콧 선언 일주일 만에 복귀 결정을 내린 것과 관련해서는 “크게 두 가지라고 생각이 된다”며 “첫 째는 한국당이 제1야당으로서 국민들에게 이번 장외투쟁을 통해서 경각심을 주는데 어느 정도 효과가 있었다고 본다”고 주장했다.
이어 “두 번째는 언론장악 문건이 사실은 이게 대단히 어마어마한 건데, 이게 만약 우리가 여당 할 때 이런 일이 벌어졌으며 엄청나게 저항했을 것”이라며 “생각을 해보라, 블랙리스트라는 게 정부 지원을 배제하는 게 블랙리스트인데, 이것(언론장악 문건)은 훨씬 더 진화해가지고 김장겸 MBC 사장과 고대영 KBS 사장을 완전히 다크 블랙리스트로 찍어가지고 개인비리를 부각시켜 촛불단체, 시민단체를 동원한다는 건 대단히 옳지 못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멀쩡하게 임기가 보장돼 있는 분들을 자기 입맛에 안 맞는다고 비합법적이고 편법적이고 탈법적으로다가 임기를 뺏으려고 하는 것”이라며 “이것은 문재인 정부가 주창하는 민주국가가 아니라고 생각된다”고 지적했다.
언론장악 문건에 대해 더불어민주당이 언론개혁을 언론장악으로 호도하지 말라고 맞서고 있는데 대해선 “그게 공식 문건이 아니라는데, 당 전문위원실에서 만들었다고 지금 보도가 되고 있고, 또 지난 25일 민주당 의원 워크숍에서 과학기술정보방통신위원회 소속 의원들이 공유를 했는데 이게 공식문건이 아니라는 것은 이해가 안간다”고 질타했다.
그는 “이해가 안 가는 게 이 정부는 무슨 일이 벌어지면 사과하는 사람이 없다”며 “장관이 낙마를 해도 사과하는 사람이 없고, 미사일을 방사포라고 해도 책임지는 사람이 없고, 이게 이해가 안간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잘못을 할 순 있지만 잘못하면 누군가는 사과하고 해명하고 그것이 지나치면 사퇴를 한다거나 이런 책임규명이 있어야 한다”고 질책했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