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매거진=이재만 기자] 우리나라는 지난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 유일하게 서비스 수출이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원화 강세 등의 일시적인 요인이 있지만 서비스업 경쟁력 저하 근본 원인이라는 지적도 있다.
14일 OECD 통계를 보면 지난해 한국의 서비스 수출은 877억 2060만달러로 전년 대비 7.6%감소했다.
한국의 서비스 수출액이 3년 연속 감소했다. 2014년 8.1%, 2015년 12.8%로 2016년(2.9%)에 이어 지난해에는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OECD순위도 11위에서 30위로 떨어져 31위로 떨어졌다.
OECD 35개 회원국 평균은 7.2%였고, 서비스 수출 증가율은 한국이 유일했다.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인 아일랜드는 19.1%, 14개국의 두 자릿수를 기록했으며 한국보다 한 계단 높은 스웨덴도 1.3%의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다.
한국의 서비스 수출 증가율은 2015년-12.8%, 2016년-2.9%에 이어 3년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성태윤 연세대 교수는 "서비스업의 성패는 규제의 수준에 달려 있다"며 "정치적 이슈 등 때문에 성장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