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여행 거부 여파, 3분기 日항공 여객 15% 감소

항공/물류 / 김태일 / 2019-10-29 12:40:16
베트남, 필리핀, 대만 등 아시아 노선 여객 증가로 전체 항공 여객은 증가

1.jpg
▲사진=항공 여객 [제공/연합뉴스]


[데일리매거진=김태일 기자] 국토교통부는 3분기(7∼9월) 항공 이용객이 전년 동기보다 4.4% 증가한 3천123만명으로 집계됐다고 29일 밝혔다.


이는 지금까지 단일 분기 기준 최대 실적인 직전 분기 3천123만명을 넘어선 실적이다.


국제선 여행객은 2천291만명으로 전년보다 4.8% 증가했고, 국내선 여행객은 832만명으로 3.2% 늘었다.


국제선 여객 증가는 여름방학 및 휴가, 추석 연휴 등 계절적 요인에 따른 영향이 컸고, 저비용항공사(LCC)의 공급석 확대와 여행객 증가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국토부는 분석했다.


지역별로는 일본·대양주 노선이 감소했고, 중국·아시아·미주·유럽 등 노선은 증가세를 보이며 희비가 엇갈렸다.


'보이콧 저팬' 운동 확산에 따라 일본 노선 여객은 작년 3분기보다 14.6% 감소했다.


3분기 기준 일본 노선 여객 증감률은 2016년 33.9%, 2017년 25.0%, 작년 3.5%로 증가세를 유지하다가 올해 -14.6%로 뚝 떨어졌다.


9월 실적만 떼어놓고 보면 9월 5주차 기준 여객은 지난해 35만4천411명에서 올해 22만5천646명으로 36.3% 감소했다.


특히 같은 기간 국내 항공사들이 공급 좌석을 줄이면서 국적항공사를 이용한 여객은 32만3천163명에서 19만7천224명으로 40.0% 줄었다.


같은 기간 탑승률은 77.1%에서 67.8%로 떨어졌다.


중국의 한한령 여파로 줄었던 중국 노선 여객은 496만명을 기록해 작년 동기보다 12.2% 증가했다. 이는 한한령 이전인 2016년 3분기(578만명)보다 14.1% 낮은 수준으로 여객이 지속적으로 회복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시아 노선(중국·일본 제외)은 베트남(22.5%), 필리핀(35.6%), 대만(20.0%) 등 노선이 운항 증편 영향으로 여객이 13.3% 증가해 증가세를 견인했다.


미주(4.4%), 유럽(8%), 기타(1.3%) 노선도 여객이 증가했고, 대양주(-0.5%)는 줄었다.


공항별로는 노선 다변화 및 중국 여객 증가 영향으로 무안(104.9%), 청주(26.6%), 제주(33.5%), 대구(25.7%) 등 지방 공항이 높은 성장세를 기록했고, 인천(4.2%), 김포(0.4%) 등 주요 공항의 국제여객도 증가했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등 대형항공사(FSC) 여객은 0.5% 감소했고, 저비용항공사(LCC) 여객은 4.6% 증가했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