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최중경 거취 논란에 김두우 소환까지..레임덕 가속화

대통령실 / 배정전 / 2011-09-19 12:26:30

청와대.jpg

[데일리매거진=배정전 기자] 최중경 지식경제부 장관(55)의 거취를 두고 청와대가 오락가락하고 있다. 이명박 대통령의 머뭇거림에 내부 참모 간 의견차까지 겹쳐 있기 때문이다. 측근 비리에다 국정시스템 혼선까지 더해지면서 레임덕이 가속화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18일 최 장관 거취를 놓고 청와대가 내놓은 메시지는 하루 종일 뒤죽박죽이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이날 오전 기자들과 만나 “최 장관이 도의적 책임을 져야 한다는 게 청와대 입장”이라며 이를 임태희 대통령실장(55)이 내부 회의 후 최 장관에게 전했다고 밝혔다. 최 장관을 향한 사실상의 사퇴 메시지였다. 하지만 최 장관은 이날 오후 기자회견에서 “자리에 연연하지 않겠다”면서도 당장은 물러날 뜻이 없음을 밝혔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최 장관 기자회견 직후 기자실을 찾아와 “청와대가 최 장관을 사퇴하라고 압박한 게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최 장관이 먼저 임 실장에게 “무한책임을 느낀다”는 입장을 전해왔다는 것이다. 그는 ‘선 수습 후 사퇴’라는 입장에 대해 “기자들이 알아서 해석해달라”며 극도로 조심스러운 태도를 보였다.

배경에는 청와대 내 입장차가 있기 때문이다. 정무라인은 이른 시기에 최 장관에게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최 장관과 ‘30년 지기’인 임 실장과 경제라인은 책임소재를 가리는 게 우선이란 뜻이 강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대통령 특유의 인사 관련 모호함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청와대 ‘내부 정치’까지 작동해 명확한 입장을 정리하지 못하는 것이다.

이 대통령은 최 장관을 강만수 전 기획재정부 장관을 대신해 기획재정부 차관에서 경질했으나 곧바로 필리핀 대사, 청와대 경제수석으로 중용했다. 최 장관은 필리핀 대사로 있으면서도 이 대통령에게 수차례에 걸쳐 국정 현안에 대한 편지를 통해 조언을 했을 정도다.

결과적으로 “장관 한 명의 거취를 가타부타 결정 못하는 청와대”라는 평가가 제기된다. 최 장관이 현직에서 시간을 끌수록 이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부담이 될 것을 알면서도 별 조치를 취하지 못하는 상황이 된 것이다.

더불어 청와대가 “무한책임”만 거론하며 버티는 최 장관을 경질하지는 않겠다는 입장을 정한 것은 여론의 추이를 보면서 최종 판단하겠다는 뜻이 담긴 것으로 풀이된다.

정전사태는 한국전력과 지경부가 정전 조치 전에 청와대에 보고도 하지 않은 사실이 드러나는 등 국정시스템의 총체적 혼란을 보여주고 있다. 김두우 전 홍보수석(54)이 부산저축은행 로비스트인 박태규씨(71)로부터 금품로비를 받은 혐의로 검찰 소환을 앞두는 등 청와대의 임기말 현상이 쌓이고 있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