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명환 전 외교통상부 장관의 딸 특혜채용 파문 이후 외교부가 인사조식 개혁을 추진한 지 14일로 1년을 맞았다.
김성환 장관 취임과 동시 외교부는 공정·개방·경쟁 3대 분야 39개 개혁과제를 중심으로 한 '개방과 공정의 외교부 실현을 위한 인사·조직쇄신안'을 발표했다.
해당 쇄신안에는 ▲5급 이상 특패 행안부 이관 ▲6~7급 특채 행안부와 공동주관 실시 ▲공관장 역임 후 공관차석·본부 국장 보임 확대 ▲공관장 자격심사제 강화 ▲인사신문고 설치 등이 포함돼 있다.
인사 개혁 1년을 맞은 현재 부적격자 중간퇴출제 등으로로 공관장 3~4명이 중간 소환되는 등 쇄신안이 제도화 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특히 외교부가 인사쇄신안 과제로 중점적으로 추진한 '국립외교원' 법안이 오는 26일 발효되면 쇄신작업에 가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
국립외교원 법안에 따라 2014년부터 외교관은 국립외교원 입학시험을 거쳐 선발돼 1년간 국립외교원 정규과정에서 실무 위주로 집중교육을 받은 뒤 최종 임용된다.
외교부 관계자는 "공정·개방·경쟁이라는 3가지 기치를 갖고 조직 문화를 포함한 기획 작업에 박차를 가했다"며 "외교부 내 조직 문화 개선을 중점적으로 추진했다"고 밝혔다.
그는 "국립외교원 법을 만들고 외무공무원 법안을 개정해 국립외교아카데미를 설립했다는 것은 두드러진 변화"라며 "내부 직원들의 호응도가 B+ 이상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 같은 외교부의 인적 인사쇄신 작업 등에도 불구하고 외교부 내에서도 적폐 및 스캔들이 끊이지 않고 있다는 한계도 있다.
올해 초 이른바 '상하이 스캔들'로 불린 주상하이 총영사관과 중국 여성 덩신밍(鄧新明)의 스캔들이 그 대표적인 예다.
이 밖에 전 코트디부아르 대사가 국제거래로 금지된 상아를 밀반입한 사건이나 최근 주독일 대사관의 고위 외교관이 음주운전 사고를 내는 등 외교부 내 사건·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다.
뉴시스 제공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