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공항, 급유시설 민간 임대 강행에 여론 '분노'

사회 / 김태호 / 2012-07-31 15:55:45
입찰공고 이번주 중…"다음 정권으로 넘긴다는 것은 헛소문" [데일리매거진=김태호 기자] 인청공항이 전격적으로 급유시설의 운영권 사업자 선정과 관련한 입찰공고를 보류한지 나흘만에, 돌연 인천공항 핵심시설인 인천국제공항급유시설(주) 운영권을 민간에 넘기기로 결정한 것이 밝혀져 파장이 일고 있다.

지난 30일 한 언론에 따르면 이영근 공항공사 부사장은 "국가로부터 1986억원에 인수한 급유시설(주)을 경쟁입찰을 통해 민간에 운영권을 넘기겠다"며 "최근 무기 보류니, 다음 정권으로 넘긴다는 것은 헛소문"이라고 밝히며 "다만 국회가 현재 급유시설(주)을 운영중인 대한항공에 운영권이 넘어가지 않도록 하는 방안을 주문, 법률적 검토를 하고 있다. (공항공사로선)운영권 민간이양에 대한 정부 정책이 정해진 만큼 따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급유시설(주)의 입찰공고는 이르면 이번주 중 이뤄질 전망이다. 공항공사는 "운영권 입찰은 최고가에 3년에 추가 2년 등 5년의 운영권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26일 인천국제공항공사는 급유시설을 민간에 3년간 임대하기로 하고 사업자 선정에 나섰으나 지난 25일 국회 국토해양위원회에서 야당 의원들이 특정 사업자에 대한 특혜의혹을 제기하고 절차 진행을 중단할 것을 요구하면서 이를 보류키로 한 것이다.


야당과 공사 노조 등은 매년 60억~70억 이상의 흑자를 기록하는 알짜배기 민자사업인 급유시설 민영화가 공사 전체의 민영화를 위한 정지작업으로 보고 반대해왔다.


이와 관련해 민주노총 인천본부와 공공운수노조는 지난 27일 " “인천공항 급유시설 운영권 민간 위탁은 인천공항 민영화의 신호탄이 될 것이고 종국적으로 인천공항 민영화로 직결될 수밖에 없다”면서 “이명박 정부가 임기 동안 압도적인 반대 여론에 막혀 추진하지 못했던 인천공항 민영화의 우회로인 셈이다”라고 주장했다.


또 이들은 "그 동안 급유시설을 관리·운영해온 인천국제공항급유시설㈜의 대주주인 한진그룹에 대한 특혜논란이 불거지고 있다"면서 "정부는 경쟁입찰을 권고하면서 사실상 특정 기업을 사업자로 이미 선정해 놨다"라고 의혹을 제기했다.


이같이 정부와 인천국제공항공사가 국민적인 반대 여론에도 불구하고 인천공항 급유시설을 민간에 매각하려 하자 '올림픽시즌과 티아라 사건이 터지니 급히 처리하려고 한 것 아니냐'는 비난의 여론이 쏟아지고 있다.

또 몇몇 언론사를 제외하고 이와 관련된 기사가 나오지 않는 것에 대해서도 의문점을 던지고 있다.


한 네티즌은 "기사는 하나뿐. 올림픽 시작되니 또 남 모르게 사기칠려고하는구나"라며 질타했으며 또 다른 네티즌은 "진짜 통수계의 아이콘이다"라는 말을 남겼다.


이밖에도 "티아라 사건 틈타서 물타기 하네", "우리 공항좀 지켜주세요~~~!!! 제발", "끝까지 똥을 싸지르는구나", "미쳤다 미쳤다 나라를 팔아먹고 있다 이를 어찌하면 좋을꼬", "지금 티아라 것들이 문제인가?", "미친 대한민국은 완전 미쳐버렸구나" 등 여론이 분노로 들끓고 있다.


한편 급유시설(주)은 2001년부터 대한항공이 운영했으며 오는 8월13일까지 운영기간이 종료된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