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매거진=이광현 기자] 세계 최초로 한글을 공식 표기문자로 도입했던 인도네시아 소수민족 찌아찌아족이 이제 더이상 한글을 배우지 못할 위기에 처했다. 이와 함께 찌아찌아족이 한글을 공식 문자로 채택한 것이 아니라는 점이 밝혀져 그동안 정부가 각종 자료를 통해 “인도네시아 정부가 소수민족인 찌아찌아족의 한글 사용을 공식 승인했다”고 발표해왔던 내용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지난 8일 문화체육관광부가 “인도네시아 술라웨시 주 부퉁 섬 바우바우 시가 운영하던 ‘세종학당’이 8월 31일 일시 폐쇄됐다”고 밝히자 한글의 독창성과 우수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손꼽힌 찌아찌아족 대상 한글 보급활동이 중단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뒤따르고 있다.
세종학당은 정부가 세계 각지에 설립한 한국어 교육기관으로 민간에 의해 운영되고 있다.
찌아찌아족의 세종학당은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어세계화재단이 세계 각지에 설립하는 한국어 교육기관으로 바우바우시에는 경북대와 인도네시아 무함마디아 부톤대 협력으로 설치돼 지난 1월30일 개원했다.
찌아찌아족과 한글의 인연은 지난 20009년 독자적 언어는 있으나 문자가 없었던 찌아찌아족이 한글을 공식 표기문자로 채택하면서다. 이후 훈민정음학회의 건의로 한글을 표기 문자로 도입하고 학회가 만든 교과서를 써왔다.
하지만 그동안 운영을 맡아오던 경북대가 최근 재정적 어려움을 겪으면서 7개월 만에 세종학당을 철수하게 된 것이다.
올해 초 세종학당에 강사로 파견됐던 현지 유일의 한국인 교사 정덕영(51)씨도 세종학당 철수와 함께 한국으로 되돌아왔으며, 현지의 미진한 교원 양성 프로그램 탓에 찌아찌아족에게 한글과 한국어를 가르칠 현지 교사가 거의 없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한편 찌아찌아족에 한글을 보급하는 것이 쉽지만은 않았던 측면도 있다. 찌아찌아족에 한글을 표기어로 채택한 후 서울시가 바우바우시와 문화예술 교류·협력을 위한 의향서를 체결하고 문화부가 세종학당을 세우는 등 지자체와 정부가 나섰지만, 재정적 어려움과 문화적 갈등 등으로 한글 보급은 줄곧 난항을 겪어온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경북대 관계자는 “정부 지원금 3400만 원과 경북대 예산 3600만 원을 합쳐 총 7000만 원으로 세종학당을 시작했지만 현지에 한국어 교사 자격증을 가진 사람이 없어 한국인 강사를 파견해야 했다”며 “이러다 보니 비용이 턱없이 부족해 문화부에 알렸지만 응답이 없었다”고 밝혔다.
문화부 관계자는 “바우바우 시가 한글 도입에 따른 한국 정부의 지원 등 경제적 효과를 노리고 한글을 도입한 경향도 크다”고 설명하며, "처음 한글을 도입할 당시 '공식 도입'인 것처럼 알려졌지만 바우바우시장이 이후 한국을 방문해 '중앙정부에 한글 공식 채택을 요청한 적이 없고 앞으로도 그럴 계획은 없다. 인도네시아의 공식 언어는 따로 있어 공식 허가를 받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밝히는 등 시 차원에서 고유어 표기 문자로 도입한 것이 잘못 알려진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다른 운영 대학을 찾아 빠른 시간 내에 운영을 재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인도네시아 소수족 한글 교육 세종학당 7개월만에 철수
[투데이코리아=이규남 기자] 세계 최초로 한글을 공식 표기문자로 도입했던 인도네시아 소수민족 찌아찌아족이 이제 더이상 한글을 배우지 못할 위기에 처했다. 이와 함께 찌아찌아족이 한글을 공식 문자로 채택한 것이 아니라는 점이 밝혀져 그동안 정부가 각종 자료를 통해 “인도네시아 정부가 소수민족인 찌아찌아족의 한글 사용을 공식 승인했다”고 발표해왔던 내용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지난 8일 문화체육관광부가 “인도네시아 술라웨시 주 부퉁 섬 바우바우 시가 운영하던 ‘세종학당’이 8월 31일 일시 폐쇄됐다”고 밝히자 한글의 독창성과 우수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손꼽힌 찌아찌아족 대상 한글 보급활동이 중단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뒤따르고 있다.
세종학당은 정부가 세계 각지에 설립한 한국어 교육기관으로 민간에 의해 운영되고 있다.
찌아찌아족의 세종학당은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어세계화재단이 세계 각지에 설립하는 한국어 교육기관으로 바우바우시에는 경북대와 인도네시아 무함마디아 부톤대 협력으로 설치돼 지난 1월30일 개원했다.
찌아찌아족과 한글의 인연은 지난 20009년 독자적 언어는 있으나 문자가 없었던 찌아찌아족이 한글을 공식 표기문자로 채택하면서다. 이후 훈민정음학회의 건의로 한글을 표기 문자로 도입하고 학회가 만든 교과서를 써왔다.
하지만 그동안 운영을 맡아오던 경북대가 최근 재정적 어려움을 겪으면서 7개월 만에 세종학당을 철수하게 된 것이다.
올해 초 세종학당에 강사로 파견됐던 현지 유일의 한국인 교사 정덕영(51)씨도 세종학당 철수와 함께 한국으로 되돌아왔으며, 현지의 미진한 교원 양성 프로그램 탓에 찌아찌아족에게 한글과 한국어를 가르칠 현지 교사가 거의 없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한편 찌아찌아족에 한글을 보급하는 것이 쉽지만은 않았던 측면도 있다. 찌아찌아족에 한글을 표기어로 채택한 후 서울시가 바우바우시와 문화예술 교류·협력을 위한 의향서를 체결하고 문화부가 세종학당을 세우는 등 지자체와 정부가 나섰지만, 재정적 어려움과 문화적 갈등 등으로 한글 보급은 줄곧 난항을 겪어온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경북대 관계자는 “정부 지원금 3400만 원과 경북대 예산 3600만 원을 합쳐 총 7000만 원으로 세종학당을 시작했지만 현지에 한국어 교사 자격증을 가진 사람이 없어 한국인 강사를 파견해야 했다”며 “이러다 보니 비용이 턱없이 부족해 문화부에 알렸지만 응답이 없었다”고 밝혔다.
문화부 관계자는 “바우바우 시가 한글 도입에 따른 한국 정부의 지원 등 경제적 효과를 노리고 한글을 도입한 경향도 크다”고 설명하며, "처음 한글을 도입할 당시 '공식 도입'인 것처럼 알려졌지만 바우바우시장이 이후 한국을 방문해 '중앙정부에 한글 공식 채택을 요청한 적이 없고 앞으로도 그럴 계획은 없다. 인도네시아의 공식 언어는 따로 있어 공식 허가를 받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밝히는 등 시 차원에서 고유어 표기 문자로 도입한 것이 잘못 알려진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다른 운영 대학을 찾아 빠른 시간 내에 운영을 재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