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한 언론은 한 총장이 직접 최저형량을 지시했고, 납득하지 못한 수사팀이 다시 검토해 달라는 요청을 했으나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고 보도했다.
이 보도에 따르면 수사팀 의견은 대법원 양형위원회가 마련한 300억원 이상 횡령·배임 범죄 양형기준의 기본 형량(5~8년)의 중간인 징역 7년이었으나, 대검 관계자의 말을 빌려 "이 자리에서 한 총장은 '구형량을 4년으로 하면 어떻겠냐'고 했고, 한 총장의 발언에 최 지검장이 별다른 이의를 제기하지 않고 받아들였다"고 말했다.
이에 수사팀이 납득할 수 없다며 최 지검장을 통해 재고해 줄 것으로 요청했으나 한 총장은 종전과 같이 4년 구형을 고집한 것으로 전해졌다. 대검 간부들도 최 회장의 구형량에 대해 ‘적어도 5년 이상은 구형해야 한다’는 의견이었다고 한다.
또 이 언론은 한 검찰 간부가 "검사 뇌물·성관계 사건으로 어수선한 상황에서 친분관계에 있는 피고인에게 봐주기 구형을 하도록 지시한 총장을 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 책임론을 피할 수 없을 것 같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해 검찰 관계자들도 "최태원 회장은 멀쩡하게 교육받은 임직원들을 총수 일가의 불법행위에 가담하게 해 범죄자로 만들고, 가혹한 경제위기 상황에서 사실상 도박에 가까운 선물 옵션 투자를 했다"고 비판하고 있으며, 네티즌들도 "중국이면 총살형이고 영국이면 무기징역이다"이라고 강력하게 질타하고 있다.
정치권 안팎에서 경제민주화와 재벌 개혁을 외치고 있는 지금, 한 총장이 수사팀의 의견을 묵살하고 최 회장의 '봐주기' 처벌을 지시한 것이 사실로 확인될 경우 거센 후폭풍을 예고되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한편 한 총장은 지난해 8월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고려대학교 동문인 최 회장과 한 달에 한두 번씩 서울 워커힐호텔에서 테니스를 친 사실이 공개돼, 당시 박영선 민주당 의원에게 "최재원 에스케이 수석부회장의 비자금 수사도 (서울중앙지검이) 진행하고 있는데 6월29일 최 부회장 출국 금지 이후 어떤 진척 상황도 없다. 한상대 후보자와 에스케이의 커넥션을 연결해 볼 때 의혹을 사기에 충분하다"고 지적받은 바 있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