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비상대책위원회 출범 첫날부터 이같은 상황이 발생해 앞으로의 험란한 길이 예상되고 있다.
특히, 안희정 충남지사는 이날 오전 한 라디오 방송을 통해 "친노라는 개념은 실체가 없는 개념"이라며 "친노라는 이름을 갖고 책임공방을 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우리 모두가 친노고 친 김대중"이라며 "그런 논의는 민주당의 분열을 가중시킨다"고 밝혔다.
안 지사는 "오히려 지난 총선 때나 모든 선거 때마다 민주당 후보자들은 김대중, 노무현의 정신을 계승하겠다고 모든 선거홍보 팸플릿에 이력과 함께 해왔던 시간들을 자랑스럽게 기재했던 정치인들"이라며 "친노라는 이름이 정치적인 정파로서 실체적인 개념이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또 비주류 3선인 김동철 비대위원 역시 "민주당은 운동권이나 시민사회단체가 아니다"며 "민주당의 극단주의가 없어져야한다"고 말했다.
그는 "운동권이나 시민사회단체는 무엇이 옳으냐. 무엇이 이상적이냐만 따질 수 있다"며 "그러나 정치권에 있는 민주당은 현실을 직시하고 현실과 이상의 조화를 추구해야한다"고 말했다.
또 비주류 3선인 안민석 의원 역시 "보수 대 진보 간의 싸움으로 치러지는 선거는 지난 대선이 마지막이었다"며 "보수 대 진보로 나뉘는 정치 구조 자체가 사라질 것이고, (그렇다면) 앞으로 어떻게 하면 탈이념을 넘어서 새로운 시대에 맞는 새로운 정당의 모습을 만들어 내느냐에 대한 기본 설계를 비상대책위원회에서 선을 보여야 한다"고 말했다.
일각에선 친노진영과 계파갈등이 이번 대선패배의 직접적인 원인이라며 비난에 비난을 가했다. 더이상의 계파갈등으로는 민주당의 재탄생은 어려워질 수 있다며 우려의 목소리를 나타내기도 했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