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 분식회계 5조…금융피해 10조 육박

경제 / 소태영 / 2016-06-23 16:42:54

2016-06-23 16;42;45.JPG


[데일리매거진=소태영 기자] 대우조선해양은 해양플랜트 사업 부실이 3년간 5조원에 가까운 분식 회계를 저질러 금융권에 10조원이 넘는 피해를 입혔다는 검찰 조사가 나왔다.


23일 법조계에 따르면 대우조선 비리를 수사하는 검찰 부패범죄특별수사단은 해당 시기에 대우조선 최고재무책임자를 지낸 김 모 씨를 조사하면서 이 같은 규모의 분식회계 사실을 파악한 것으로 알려졌다.


감사원이 2013∼2014년 대우조선의 해양플랜트 분야 회계부정을 감사하면서 적발해 낸 분식회계 액수인 1조5000억여원에 비해 3배 커진 규모다.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이나 초대형 컨테이너선 등 대우조선의 우량 수주 사업까지 분식회계에 동원된 결과로 검찰은 분석하고 있다.


2012년부터 해양플랜트 사업이 크게 부실화하자 우량 사업까지 회계조작에 끌어들였고, 그 결과 분식회계 규모가 눈덩이처럼 불어났다. 2012년부터 3년간 적발해 낸 5조원가량의 분식회계는 김씨의 구속영장에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사기 혐의 사실에 적시된 것으로 전해졌다. 분식회계로 조작한 재무자료를 근거로 금융권에서 지원받는 금액은 수십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우조선은 문제의 재무자료로 회사채와 기업어음을 발행했고, 은행으로부터 대출 지원을 받았다. 조선업계에 주로 지원되는 선수금환급보증(RG·Refund Guarantee)도 금융 지원에 해당한다. 검찰은 대우조선이 이미 변제한 금액을 빼더라도 10조원을 넘는 금융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보고 있다.


아울러 검찰은 남상태·고재호 전 사장이 재직한 2006년부터 최근까지 대우조선이 수주한 사업 500여건을 전수조사하면서 회계부정을 파악하고 있다. 따라서 이미 밝혀진 규모보다 분식회계 규모가 수조원 더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한편 김씨의 구속 여부는 법원의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을 거쳐 24일쯤 결정될 전망이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