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매거진=전성진 기자] 청년실업이 IMF 수준으로 치솟는 등 구직시장의 구조적 모순까지 겹치면서 최악의 위기로 치닫는 중이다.
지난 9월 기준 청년실업률 9.4%는 통계청이 관련 통계를 작성한 1999년 이후 9월 기준으로 가장 높고, 전체 실업률 3.6%도 11년 만에 최고치다. 수출 부진에 해운·조선 구조조정까지 겹쳐 실업자는 100만 명에 육박했다. 실업률이 거의 매달 '최악'을 갈아 치우면서 고용대란이 본격화하는 조짐이다. 이것이 대한민국이 처한 현실이다.
문제의 심각성은 경제 성장률에 있다. 최근 대통령 탄핵에 따른 국정 혼란, 미국의 금리인상과 트럼프 행정부 출범 등 대내외적인 악재가 중첩되자 기업투자 또한 얼어붙어 새로운 일자리가 생겨날 곳이 없다.
특히 취업이 안되어 경제적 여유가 없기 때문에 연애, 결혼, 출산을 포기하며, 계속적인 실업상태에 있다 보니 취업 자체를 포기하고, 나아가 인간관계와 미래에 대한 희망도 포기하게 되는 것이다.
청년들의 일자리 문제 해결을 위한 정부의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지만, 국정 공백과 마비 상황이 계속되고 있어 사태의 심각성은 예사롭지 않다.
청년실업은 큰 사회문제이자 우리 사회 발등에 떨어진 불이라 할 수 있다. 청년실업이 장기화 될수록 우리 경제와 사회 발전을 저해하는 국가적 문제가 될 수도 있다.
정부가 더 적극적으로 나서 기업의 투자를 이끌어내는 방안도 심도있게 고민해야 될 때가 아닌가 싶다. 뭘 해도 안되고 있다지만 뭐라도 해야하는 상황이다. 현재의 위기를 의식하고 어떻게든 구체적이고 현실성있는 방안을 제시해 청년고용에 집중해야 한다.
청년실업은 경기가 살아나지 않는 한 묘약이 없다. 정책적 수단으로 단기간에 효과를 볼 수 있는 사안도 아니다. 그러나 최악의 상황으로 치닫는 것은 막을 수 있다. 정부와 기업, 노동자 모두 힘을 모으면 방법이 없는 것도 아니다. 정부는 안전과 보건, 교육 등의 공공서비스 부문 일자리를 늘리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찾아야 한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