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극심한 가뭄 사태 하루빨리 대책 세워야

기자수첩 / 김영훈 / 2017-06-14 16:12:36

500.JPG


[데일리매거진=김영훈 기자] 최근 농촌지역이 극심한 가뭄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모내기를 포기하는 농가들이 속출하는가 하면 공업용수가 부족해 가동을 멈추는 산업단지도 늘고 있는 상황이다.


기상청 예보에 따르면 6월까지 비가 예년에 비해 적게 올 전망이어서 가뭄 피해지역이 강원과 전남지역으로 확산되고 모내기 차질은 물론 수확을 앞둔 마늘 등 밭작물에까지 피해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특히 4대강 보 개방의 경우 극심한 물 부족이 걱정되는 시기에 이뤄져 농민들의 반발을 사고 있을 뿐만 아니라 녹조예방 등 환경 차원에서도 실제적인 효과를 거두지 못한다는 비판에 직면하고 있다.


한마디로 농촌과 농심은 타들어가는데 새 정부의 가뭄대책은 과연 있기나 한 것인지 의문을 제기하지 않을 수 없다.


현장의 농민들은 양수기, 전기모터, 호스 등 양수장비와 간이 양수시설, 인력 지원 등을 요청하고 있지만 정부의 지원규모는 턱없이 모자라기 일쑤다.


이동필 농림식품부 장관은 경북 영주시 한 농가를 찾아 "가뭄이 덜한 지역 양수기를 빌리는 등 모든 수단을 동원할 것"을 지시했고, 국민안전처도 60억 원 특별교부세를 긴급지원했지만 모두 임시방편이다. 지금은 정례화한 가뭄에 대비한 큰 그림을 그려야 할 때이지만 도무지 미덥지 않다.


가뭄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최근 5년 전국 누적 강수량은 2011년 2만5864㎜→2012년 2만5105㎜→2013년 1만8519㎜→2014년 1만8626㎜→2015년 1만5516㎜ 등으로 감소했다.


이러한 이상기후에 대한 장단기 대책 마련이 미룰 수 없는 국정과제로 떠올랐다고 해도 틀리지 않다. 올해 전국에 내린 비는 약 170㎜ 안팎으로 평년의 절반 수준에 그쳤다.


게다가 앞으로는 기후변화 등으로 더 심각한 가뭄이 연례행사처럼 닥쳐올 가능성이 높다. 항구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당장 급한 것은 거북등처럼 갈라진 논에 물을 대고 모내기가 늦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양수기와 양수호스를 충분히 지원하고 급수차도 동원해 물을 비교적 여유 있는 지역에서 부족한 지역으로 보내줘야 한다.


새 정부 출범과 인사청문회에 온통 관심이 쏠리는 바람에 가뭄은 대책과 소식의 뒷전으로 밀려난 형국이다. 가뭄문제 해결은 시급한 국가 과제다. 때문에 정치권은 더이상 국가적 손실과 국민적 고통을 외면해선 안된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