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명박 前 대통령 [제공/연합뉴스DB]
[데일리매거진=이상은 기자] 이명박(MB) 전 대통령이 실소유주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된 도곡동 땅과 관련해 이 전 대통령 측 재산관리인 이모 청계재단 사무국장이 과거 특검 조사에서 했던 진술을 번복한 것으로 전해졌다.
최근 자동차 부품업체 다스(DAS)의 비밀창고에서 청와대 문서가 발견되고 이 전 대통령 측근 인사들이 과거 내놓았던 진술을 잇달아 바꾸면서 도곡동 땅 및 다스를 둘러싼 의혹 수사가 급진전하고 이명박 전 대통령의 검찰 소환도 평창동계올림픽 이후가 아니라 그 시기는 더 앞당겨 질 수도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6일 검찰 등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첨단범죄수사1부(신봉수 부장검사)는 이 전 대통령 측의 재산관리인으로 알려진 이모 청계재단 사무국장을 최근 수차례 불러 도곡동 땅 매각 이후 자금 관리 경위 등을 강도 높게 캐물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검찰의 강도 높은 조사 과정에서 그는 영포빌딩 관리업체 직원으로 일을 하면서 오랜 기간 이 전 대통령 측의 재산을 챙겨 왔던 인물로 주목 받아 왔다.
그는 뿐만 아니라 이 전 대통령 큰형인 이상은 다스 회장 명의의 도곡동 땅 매각대금도 관리했던 것으로 알려지기도 했다.
이 사무국장은 2008년 'BBK 특검' 조사에서 "도곡동 땅의 실소유주는 명의자인 김재정씨와 이상은씨"라는 취지로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그는 최근 검찰에서 도곡동 땅 매각대금 관리와 관련해 특검 조사 때 진술이 사실과 다르다는 취지로 말을 바꾼 것으로 알려졌다.
이과정에서 매각대금을 매달 수천만원씩 정기적으로 인출해 이상은씨에게 전달했다는 과거 진술이 실상과 다르다는 취지다. 그동안 검찰의 압수수색이나 조사과정에서 거부 할 수 없는 상당한 증거의 수집이 이뤄진 것으로 풀이된다.
이 사무국장의 진술 번복에 따라 도곡동 땅 실소유주 의혹 규명을 향한 검찰 수사는 급물살을 타는 것으로 알려졌다. 도곡동 땅 실소유주 규명 결과에 따라 매각 자금이 흘러들어 간 다스의 실소유주 의혹도 실체가 드러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검찰은 이같은 진술을 토대로 더 명확히 소유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관련 조사를 이어가고 있다. 검찰 관계자는 "차분히 단계를 밟아가며 살펴보고 있다"고 말했다.
최근 측근 인사의 진술 번복으로 다스와 이 전 대통령의 관계를 둘러싼 의혹 수사는 속도를 내는 상황이다.
다스 전신인 대부기공 설립 초기부터 실무를 도맡은 김성우 전 대표는 기존 검찰 진술을 번복해 "이 전 대통령이 대부기공 설립에 관여했다"라는 취지의 내용이 담긴 자수서를 최근 검찰에 제출하기도 했다.
검찰이 다스 지하창고에서 이명박 정부 청와대의 국정 관련 문서들을 다수 찾아낸 것도 이 전 대통령과 다스 관계를 입증하는 결정적 '뇌관'이 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