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매거진=이상은 기자] 가계 소득은 다소 늘었지만 대출 이자와 사회보혐료 등을 감안하면 실질 가처분 소득은 여전히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국회예산정책처에 따르면 우리 나라 가계의 월 평균 소득은 작년 4분기에 전년 동기 대비 1.6%증가해 2015년 2분기 2.3%이후 처음으로 플러스로 돌아섰다.
우리나라 가계 실질 소득은 2016년 3분기-0.1%에서 2016년 4분기-1.2%, 지난해 2분기 1.0%, 지난해 2분기-0.2%로 미미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가계의 월 평균 소득은 작년 4분기의 2.8%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가처분 소득은 가계 소득 가운데 대출이자 사회보험료 등 비소비지출을 제외한 가처분 소득에서 물가 상승을 반영하는 부분을 뜻한다.
가처분 소득은 2015년 4분기 0.8%에 달해 플러스 성장세를 보였다. 2016년 14분기-1.5%에서 4분기 0.7%로 감소했다가 작년 1분기 3.1%감소했던 데 비해 2분기 3.1%감소한 2분기-3.1%의 감소율을 보이고 있다.
국회예산정책처는 세금과 사회보험료 등 비소비지출이 늘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지난해 4분기 가계의 월 평균 소득은 3.1%증가했지만 비소비지출은 12.5%증가해 소득 증가액을 상쇄했다.
구체적으로 비소비지출에서도 연금(3.8%), 사회 =보험료(3.7%), 이자 비용(7.7%)등 고정 비용 지출 비용 지출이 늘면서 부동산 관련 가구 간 이전지출의 증가율이 46.7%로 나타났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