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대중 수출 비중 높은 산업 [제공/대한상공회의소] |
지난해 한국의 대중 수출 비중이 가장 높은 산업군은 정밀기기, 정밀화학, 반도체로 나타났다.
특히 반도체의 경우 20여 년간 대중 수출의존도가 가장 많이 높아진 것으로 파악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21일 한·중 수교 30주년을 맞아 이런 내용이 담긴 '산업별 대중 수출의존도 변화와 시사점 보고서'를 발표했다.
산업별로 해당 산업의 전 세계 수출량에서 대중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을 살펴본 결과 지난해 기준 대중 수출 비중이 큰 산업은 정밀기기(42.5%), 정밀화학(40.9%), 반도체(39.7%), 유리(39.3%), 석유화학(38.9%) 등의 순이었다.
목재(42.3%), 가죽·신발(38.8%)의 대중 수출 비중이 가장 높았던 2000년과는 양상이 확연히 달라진 것이다.
대한상의는 "소비재의 대중 수출의존도는 상대적으로 줄어든 반면 기술집약 산업의 대중 수출이 많이 늘어났다"며 "한·중 양국의 산업구조 변화에 따른 자연스러운 결과"라고 설명했다.
2000년 이후 대중 수출 비중이 가장 많이 늘어난 산업은 반도체였다.
![]() |
▲ 사진=대중 수출 비중 많이 늘어난 산업 [제공/대한상공회의소] |
지난해 반도체 산업의 대중 수출 비중은 39.7%로 2000년(3.2%)과 비교하면 36.5%p(포인트) 상승했다. 20여년 새 비중이 12.4배 늘어난 셈이다.
정밀기기'(7.5→42.5%·35%p↑), 디스플레이(2→35.2%·33.2%p↑), 세라믹(5.6→32.3%·26.7%p↑), 통신기기(1.5%→27.9%·26.4%p↑) 등도 대중 수출 비중이 큰 폭으로 올랐다.
대한상의는 "국내 고부가가치 산업의 대중 의존도 증가는 역으로 말하면 중국과의 기술격차가 좁혀졌을 때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는 얘기"라며 "중국의 추격을 따돌리기 위한 기술혁신을 위해 기업과 정부가 온 힘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1992년 한중 수교 이래 대중 교역은 빠르게 급증하며 한국 경제성장의 원동력으로 작용했다.
수교 후 8년 뒤인 2000년 한국의 대중 수출 규모는 185억달러로 전체 수출의 10.7%를 차지했다.
지난해 대중 수출 규모는 1천629억달러로 2000년과 비교하면 9배가량 증가했다. 지난해 대중 수출이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5.3%로 늘었다.
중국은 2003년부터 미국을 제치고 한국의 수출국 1위를 지키고 있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