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배달앱 '배달특급', 소상공인과 호흡 맞출까

식품/유통/생활 / 이준섭 / 2020-11-23 10:43:13
내달 1일 오산·화성·파주서 시범서비스 뒤 경기도 전역 확대

광고료 부담도 없고, 중개수수료 2%로 확 낮춰

역시 수수료 감축과 인센티브에서 경쟁력 갖춰야 해

▲제공=경기도

 

 

일단 지자체별 배달앱 아이디어가 구현되고 구체적인 실현에 들어가면서 민간을 이겨낼 공공 배달앱이 성공 가능할지 주목된다.

 

소상공인들이 비싼 수수료 부담을 덜고 독과점 횡포를 막아 시장 질서를 바로잡기 위한 경기도 공공배달앱 '배달특급'이 다음 달 1일 시범 서비스를 시작한다.

 

경기도는 올해 오산·화성·파주 등 3개시에서 시범서비스를 한 뒤 내년 단계적으로 확대, 2022년에는 경기도 전역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방침이다.

 

배달특급은 경기도가 주관하는 '공공 디지털 SOC 사업'의 하나로, 음식점 등 소상공인의 판로 지원과 공정한 시장 질서를 위해 경기도주식회사가 개발해 운영하는 배달 애플리케이션이다.

 

서비스가 시작되면 기존 민간 앱에서 613%에 달하는 중개수수료가 2%대로 낮아지고 추가 광고료 부담이 없어 배달 앱을 이용하는 소상공인들에게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게 된다.

 

소비자에게는 지역화폐 할인과 추가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등 가맹점과 소비자 모두 윈-윈하는 구조로, 디지털 플랫폼 안정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경기도가 공공배달앱 개발에 나선 것은 지난 4월 배달앱 시장의 90% 이상을 점유하는 민간 업체 '배달의 민족'이 중개수수료를 정액제에서 정률제로 변경, 가맹점들이 수수료 부담 증가에 반발하며 사회적 문제가 된 것이 계기가 됐다.

 

배달 앱을 이용하는 가맹점들은 매출액의 6.812.5%에 달하는 중개수수료와 월 일정액의 광고비를 부담해야 한다.

 

여기에 1.83.0%에 달하는 카드사 결제 수수료도 부담해야 해 물건을 많이 팔아도 이익이 줄 수밖에 없다. 배달특급은 광고비 부담 없이 12%의 수수료만 부담하면 된다.

 

2000만원의 매출을 올리는 가맹점의 경우 배달특급 이용 때 민간 배달 앱을 사용할 때보다 월 120만원 이상 영업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경기도는 보고 있다.

 

경기도는 가맹점 39000개 확보 때 연간 5600여억원의 영업비용 절감 효과를 거둘 것으로 추산했다.

 

예산 배정 방식이 지속 생존을 좌우할 듯

 

결국은 돈이 문제다. 예산 배정 방식에서 차이가 있는데 지자체별로 달라 사업 성공 여부가 어떻게 될지 아직 미지수이다.

 

현재 공공배달앱을 개발해 운영 중인 지방자치단체는 경기도 외에 전북 군산시의 '배달의 명수', 인천서구의 '배달서구', 서울시의 '제로배달유니온' 등이다.

 

군산과 인천서구의 공공배달앱은 중개수수료 없이 전액 지자체 예산을 투입해 운영하는 구조다. 가맹업체에는 도움이 더 되나 예산을 계속해서 투입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서울시의 제로배달유니온은 중소 민간 배달앱 업체가 중개수수료 2% 이하 유지 조건으로 제휴해 운영되는 구조다. 16개 업체가 참여하고 있으며 소비자는 16개 앱을 각각 내려받아 사용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배달특급은 공공예산 투입을 최소화하면서 민간 앱과 경쟁이 가능하도록 민관 합작 형태로 운영한다. 경기도가 디지털 SOC를 구축하고 민간이 운영하는 방식이다.

 

경기도는 이 사업에 올해 21억원, 내년 107억원 등 128억원을 투입할 방침이다2% 수수료를 유지하면 추가 예산 투입 없이 공공배달앱 운영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수수료를 1%로 낮추면 경기도의 예산 투입은 더 늘어나야 한다. 요식업계 등 민간에선 수수료를 더 낮춰달라고 강력하게 요구하고 있다. 여기에 도의회의 일부 의원들도 가세하고 있어 아직 어떻게 될지 알 수 없는 상황이다.

 

배달특급 사업이 안정적으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배달 앱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 소비자의 선택을 받아야 한다. 민간 기업과 싸워 서비스와 콘텐츠, 마케팅 경쟁에서 이겨내야 한다

 

경기도는 배달 앱 시장의 10%가량을 점유하면 안정적으로 사업을 계속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경기도는 시범 서비스 초기부터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소비자에 대한 혜택을 다양화한다는 방침이다.

 

경기도 관계자는 "공공배달앱은 중개수수료 인하로 소상공인들의 부담을 덜어줄 뿐만 아니라 플랫폼 시장 독점에 따른 횡포를 막아 시장 질서를 확립한다는 데 의미가 있다""공공배달앱이 민간 배달 앱과 경쟁해 살아남기 위해서는 결국 소비자의 선택을 받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가맹점 확보에 노력하고 할인쿠폰 등 소비자의 선택을 받을 수 있는 다양한 인센티브를 강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전문가들은 사실 공공배달앱의 성공 여부는 민간 배달 앱이 갖고 있는 고객 접근성 확보에 있다고 보고 있다. 얼만큼 고객의 마음을 잡는가가 더 중요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에 대한 지자체 당국의 더 세밀한 서비스 확립과 고객 수요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는 것이 업계의 분석이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