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23일 오후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비상 거시경제 금융회의 [제공/연합뉴스] |
정부가 50조원 이상의 유동성 공급 프로그램을 가동하기로 했다.
산업은행·기업은행·신용보증기금이 운영하는 회사채·기업어음(CP) 매입 프로그램 매입한도는 16조원으로 올리고, 프로젝트파이낸싱(PF)-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 차환 등으로 유동성이 부족한 증권사에는 3조원 규모 지원을 단행한다.
특히 지방자치단체가 보증한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에 대해서는 모든 지자체가 지급보증 의무를 이행하기로 했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김주현 금융위원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최상목 대통령실 경제수석은 23일 서울 은행회관에서 비상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의 시장 안정방안을 논의했다.
추 부총리는 회의 후 "최근의 회사채 시장·단기 금융시장의 불안심리 확산과 유동성 위축을 방지하기 위해 유동성 공급 프로그램을 50조원 플러스알파(+α) 규모로 확대해 운영하겠다"고 밝혔다.
![]() |
▲ 사진=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제공/연합뉴스] |
정부가 가동하는 유동성 공급 프로그램은 채권시장안정펀드(채안펀드) 20조원, 회사채·CP 매입 프로그램 16조원, 유동성 부족 증권사 지원 3조원, 주택도시보증공사(HUG)·주택금융공사 사업자 보증지원 10조원 등이다.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최근 채권시장 불안에 여러 요인이 있지만 금리가 정말 갑작스럽게 오른 게 주된 요인이라는 것을 안다"며 "시장과 좀 더 긴밀히 대화해 민간의 어려움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시장 상황이 어떻게 변할지 모르기 때문에 모든 변화 가능성을 시장과 대화하며 필요한 모든 조치를 하겠다는 입장"이라면서 "자체 모니터링을 해왔지만 최근 강원도 사태 등 우리가 생각하지 못한 돌발 변수에 민감하니 거기에 신속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기존 원칙이나 방법에 구애받지 않고 할 수 있는 것을 다 할 것"이라면서 "유동성커버리지비율(LCR) 유예도 필요하면 더 할 거고 예대율 규제도 시장과 대화하며 필요한 것을 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