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당 인건비는 연평균 2.4%씩 증가
![]() |
▲사진=2016년부터 2020년까지 30대 그룹 상장사의 직원 1인당 영업이익은 연평균 1.0%씩 감소한 반면 1인당 인건비는 연평균 2.4%씩 증감률 [제공/한국경제연구원] |
한경연 자료에 따르면 2016년부터 2020년까지 30대 그룹 상장사의 직원 1인당 영업이익은 연평균 1.0%씩 감소한 반면 1인당 인건비는 연평균 2.4%씩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분석 대상 기업의 작년 전체 매출액은 838조5천억원으로 2016년(154곳, 773조7천억원)과 비교하면 연평균 2.0% 증가했고, 작년 영업이익은 52조6천억원으로 2016년(52조5천억원) 대비 연평균 0.1% 증가했다. 반면 당기순이익은 연평균 1.1% 감소했다.
또 이 기간 동안 전체 종업원수는 80만9천명에서 84만4천명으로 연평균 1.1% 늘었고, 인건비는 59조1천억원에서 67조7천억원으로 매년 3.5%씩 늘어났으며 재무 실적을 총 종업원 수로 나눈 결과로 지난해에는 종업원 1인당 매출액은 9억9천382만원, 1인당 인건비는 8천26만원, 1인당 영업이익은 6천235만원이었다.
이를 2016년과 비교하면 1인당 매출액은 3천720만원 늘어나 연평균 1.0% 증가했다. 반면 1인당 영업이익은 255만원 줄어 연평균 1.0% 감소했고, 1인당 인건비는 719만원 올라 연평균 2.4% 증가했다.
![]() |
▲사진= 2016년부터 2020년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제외1인당 매출액·영업이익·인건비(左), 2016년부터 2020년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제외 1인당 지표 연평균증감률 [제공/한국경제연구원] |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제외하면 이 같은 경향은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났다는 것이 한경연의 설명이다. 이들 2곳을 제외한 기업들의 1인당 영업이익은 3천905만원으로, 2016년 대비 1천263만원 줄어 연평균 6.8% 감소했다. 2곳을 제외한 1인당 매출액은 작년 9억988만원으로 2016년 대비 101.3% 수준으로 비슷했으나, 1인당 인건비는 작년 7천361만원으로 2016년 대비 109.1% 수준으로 높아졌다. 최근 4년간 1인당 매출액이 연평균 0.3% 증가한 반면 인건비는 2.2% 늘어난 셈이다.
▲사진=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CI |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30대 그룹 상장 기업들의 1인당 영업이익은 4년 전보다도 다소 하락했는데 1인당 인건비는 매년 꾸준히 증가했다”며 “우리나라는 수년간 임금체계 개편 논의가 이루어져왔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대기업 10곳 중 6곳은 근속연수에 따라 매년 임금이 오르는 호봉급 체계를 적용하고 있어 글로벌 경쟁력을 위해서는 직무 및 성과에 연계한 임금체계로 전환해야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