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시장법, 2조원 이상 상장법인 이사회의 이사 전원을 특정 성(性)이 독차지하는 것 금지
▲사진= 상장법인 여성 임원현황 [제공/연합뉴스] |
지난 5일 여성가족부가 공개한 '2021년 상장법인 성별 임원 현황 조사결과'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기준 사업보고서를 제출한 상장법인 2246개의 전체 임원 3만2005명 중 여성은 1668명으로 전체의 5.2%로 나타났다.
영국 시사주간지 이코노미스트가 발표한 OECD 회원국 기업의 평균 여성 이사회 임원 비율이 25.6%에 비하면 한국은 5분의1 수준으로 여성이 기업 내 상위 직위로의 진입이 사실상 희박한 것으로 분석된다.
국내 상장법인 2246개 중 여성 임원을 선임한 기업은 815개(36.3%)로 집계됐다. 나머지 1431개(63.7%)는 여성 임원이 없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원 형태 별로 전체 등기임원 1만3368명 중 여성은 4.8%(648명), 미등기임원 1만8637명 중 여성은 5.5%(1020명)로 조사됐다.
이번 조사결과 발표에 따르면 자산 2조원 이상 기업 152개 중 여성 등기임원을 1명 이상 선임한 기업은 55.9%(85개)로 집계됐다.
이렇한 비율은 개정 자본시장법이 시행된 지난해(30.6%)보다 25.3%포인트 상승한 수치로 나타났다.
개정된 자본시장법은 자산 2조원 이상 상장법인 이사회의 이사 전원을 특정 성(性)이 독차지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또 전체 근로자 대비 임원 비율을 따져보면 여성이 남성보다 6.3배 가량 임원이 되기 더 어렵다는 분석이 나온다. 여성은 근로자 244명당 임원 1명이고 남성은 근로자 39명당 임원 1명 꼴로 분석됐다.
상장업계의 한 관계자는 “여성임원이 한 명도 없는 기업이 상장기업 10곳 중 6곳이라는 것은 법인 60%가 개정 자본시장법을 어기고 있는 상황이라는 것이다. 법률을 위반해서라도 여성임원을 뽑지 않는 기업의 정책과 방침이 무엇인지 밝혀야 할 시점이 아닌가 싶다”고 지적했다.
눈에 띄는 상장 기업 중 여성 임원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카카오로 나타났다. 카카오는 임원 7명 중 남성이 5명, 여성이 2명으로 여성 비율이 28.6%였다. 이어 아모레퍼시픽(23.9%), CJ제일제당(23.2%), LG생활건강(18.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여성 근로자 비중은 교육 서비스업(64.4%)이 가장 높았다. 이어 도·소매업(52.5%), 사업시설 관리나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50.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여성 임원 비율은 교육서비스업이 15.3%로 가장 높았고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8.5%), 정보통신업(7.5%), 도·소매업(7.0%)이 뒤를 이었다.
김경선 여가부 차관은 "기업 내 의사결정 직위의 성별 다양성 제고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등을 통해 기업의 중요가치로 인식되고 있다"면서 "기업 구성원의 인식 전환과 함께 국민적 공감대 확산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 |
업계 한 관계자는 “얼마 되지 않은 상장기업의 여성임원 중에 기업주와 관련된 직계 및 친인척 관련 여성 인사가 얼마인지 조사해 볼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일반 여성 직장인이 임원이 될 가능성이 희박하다는 것은 ESG경영에서 지배구조 부문에 대한 심각한 훼손”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유리천장(GLASS CEILING)의 단어는 여성과 소수자의 승진을 제한하는 보이지 않는 장벽을 뜻한다. 이는 암묵적이고 비공식적인 차별을 의미하는 단어로 1986년 월스트리트 저널에서 처음 쓰였으며 성차별이 직장 고위층에 팽배해있음을 폭로하는 단어로 쓰인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