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발표 “산학연 449개소 참여, 기초자료 마련에 도움”
![]() |
▲ 우리나라 우주산업 규모 |
정부에 따르면 국내 우주산업 규모는 지난해 3조8931억원을 기록했으며 기업 매출액이 전체의 84%(3조2610억원)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내 우주분야 기업체·연구기관·대학을 대상으로 국내 우주산업 현황(2019년 기준)을 조사한 '2020년 우주산업실태조사' 결과를 29일 발표했다.
우주산업실태조사는 국가 우주개발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마련을 위해 우주개발진흥법에 따라 2005년부터 매년 실시하는 국가승인통계다.
조사에는 기업체 359개, 대학 56개, 연구기관 34개 등 449개가 참여했다.
참여 기관이 지난해보다 17개 늘었으며, 업체·대학에서는 위성활용 서비스 및 장비 분야, 연구기관에서는 위성체 제작 분야참여 기관이 가장 많았다.
국내 우주산업 규모는 3조8931억원으로 집계됐다. 기업 매출액이 3조2610억원(83.8%), 연구기관 예산액 5849억원(15.0%), 대학 연구비 472억원(1.2%)으로 분석됐다.
분야별로는 '위성활용 서비스 및 장비'가 2조6656억원으로 전체의 68.5%를 차지했고, '위성체 및 발사체 제작' 9399억원(24.1%), 지상장비 1602억원(4.1%)으로 조사됐다.
국내 우주산업 인력은 9397명이며, 지난 10년간 연평균 1%씩 꾸준한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 기업체 종사자가 6643명(70.7%), 연구기관 1192명(12.7%), 대학 1562명(16.6%)이었다.
분야별 인력은 위성활용 서비스 및 장비 4980명(53.0%), 위성체 제작 1352명(14.4%), 발사체 제작 1097명(11.7%) 순이었다.
우주분야 투자액은 3154억원으로 전년 대비 33%(783억원) 증가했다. 시설투자비 증가가 주요 증가 원인으로 분석됐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