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소수 사재기에 대응 신고센터 설치·운영, 매점매석 행위에 대한 단속
![]() |
▲ 사진=경기도 부천시 한 요소수 제조업체 [제공/연합뉴스] |
중국발 요소수 수급 비상 문제 풀릴 기미가 보이지 않자 정부는 산업용 요소수 등의 현황 파악을 완료하고 차량용 전환을 위한 환경부의 기술 검토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4일 관련 정부 부처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는 철강, 화력발전, 시멘트업계 등 요소수를 사용하는 주요 업계의 요소수 재고 파악을 끝낸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환경부 기술 검토를 마치는 대로 내주부터 산업용 요소수를 차량용으로 공급한다는 방안을 세운 것이다.
다만 산업용 요소수는 용도가 다양한 만큼 물량은 어느 정도 확보 가능하지만 모두 차량용으로 쓸 수 있을 지 확신할 수 없어 상황이 쉽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환경부는 현재 산업용 요소수를 차량용으로 전환할 수 있는 지에 대한 기술 검토를 진행하고 있다.
기술 검토 결과는 이번 주말이나 다음 주 중 나올 것으로 알려졌다.
요소수는 미세먼지 주범인 질소산화물을 질소와 물로 분해해 배출가스를 줄이는 역할을 하는데 경유차량 외 제철소나 발전소, 소각장, 석유화학이나 시멘트 공장의 일부 공정에 사용되는데 요소수 품귀 현상이 발생하면서 경유를 사용하는 화물차 약 200만대의 운행이 ‘전면 스톱’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정부는 산업용 요소수를 차량용으로 제공할 경우, 산업 분야에서 요소수를 쓰지 못해 발생하는 배출가스에 대한 규제 완화에 대해서도 부처 간 협의를 진행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산업계에서도 대기오염기준에 맞춰 질소산화물을 줄이기 위해 요소수를 사용 중이기 때문에 요소수 재고물량을 차량용으로 전환할 경우 해당 기준을 충족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아울러 정부는 차량용 요수수 매점매석 행위를 철저히 단속하고 다음주 중 물가안정법에 근거한 차량용 요소수 매점매석행위 금지 등에 관한 고시를 제정·시행하겠다는 입장이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