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최근 10년간 수출 경쟁력 변화 분석 결과 내놔
▲사진=한국 수출액 증가율 대만의 6분의 1, 중국의 5분의 1 수준 불과 반면 일본의 경우 8220억달러에서 7561억달러로 8.0% 줄어 [제공/연합뉴스DB] |
지난 31일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한국, 중국, 일본, 대만 등 동아시아 주요 수출 경쟁국의 최근 10년간 수출 경쟁력 변화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전경련의 이번 조사결과 발표에 따르면 한국의 수출액은 2011년 5552억달러에서 2021년 6444억달러로 16.1% 증가했다.
같은 기간 대만은 2044억달러에서 4070억달러로 99.1% 증가했고, 중국은 1조8993억달러에서 3조3625억달러로 77.0% 증가했다.
한국의 수출액 증가율이 대만의 6분의 1, 중국의 5분의 1 수준에 불과한 셈, 반면 일본의 경우 8220억달러에서 7561억달러로 8.0% 줄었다.
전체 수출에서 해당 국가의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내는 수출 점유율을 비교 분석한 결과 한국의 수출 점유율은 2011년 3.1%에서 2021년 2.9%로 0.2%포인트 하락했으며 일본 역시 4.6%에서 3.4%로 1.2%포인트 떨어졌다.
그러나 대만의 수출 점유율은 1.2%에서 2.0%로 0.8%포인트 상승했으며, 중국도 10.5%에서 15.1%로 4.6%포인트 올랐다.
전경련은 주요 품목별로 보더라도 대만과 중국의 수출 경쟁력 향상이 두드러졌다는 분석이다.
한국 수출 가운데 가장 큰 비중(2021년 31.2%)을 차지하는 전기기기의 국가별 수출액 증감률은 대만 129.4%(2011년 761억달러→2020년 1746억달러), 중국 59.3%(4458억달러→7101억달러), 한국 34.8%(1185억달러→1597억달러), 일본 20.8%(1295억달러→1026억달러) 등이었다.
같은 기간 국가별 수출 점유율 증감을 보더라도 중국 4.6%포인트, 대만 2.7%포인트, 한국 0.2%포인트, 일본 -2.4%포인트 등으로 대만과 중국의 수출 증가율 및 점유율 증가폭이 높았다.
▲사진=동아시아 주요국 수출액 증감률(左), 동아시아 주요국별 수출점유율 변화(右) [제공/전경련) |
반도체의 국가별 수출액 증감률은 중국 255.9%(329억달러→1171억달러), 대만 246.1%(356억달러→1232억달러), 한국 108.8%(397억달러→829억달러), 일본 -9.7%(320억달러→289억달러) 등으로 나타났으며, 같은 기간 반도체 수출 점유율 증감폭은 중국 7.2%포인트. 대만 7.0%포인트, 한국 1.0%포인트, 일본 -2.9%포인트 순으로 일본을 제외한 중국, 대만, 한국의 수출액과 점유율이 모두 늘었다.
또 전경련은 "중국과 대만의 수출액 증가율이 한국보다 2배 이상 높았고, 대만의 수출액과 점유율이 한국을 추월했다는 점 등은 한국 반도체의 수출 경쟁력이 우려되는 부분"이라고 지적했다.
자동차의 경우 중국과 대만의 수출액 및 수출 점유율은 늘어났고, 일본과 한국은 줄었다.
국가별 수출액 증감률을 보면 중국 54.1%(495억달러→763억달러), 대만 53.0%(66억달러→101억달러), 일본 -17.3%(1481억달러→1225억달러), 한국 -19.2%(671억달러→542억달러) 등이었다.
이들 4개국의 주요 품목별 수출 경합도 지수를 분석해 보면 중국과 대만의 2021년 수출 경합도는 주요 4개 품목 중 3개 품목에서 10년 전 대비 상승했고, 같은 기간 한국과 일본의 경우 4개 중 3개 품목에서 하락했다.
전경련은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이는 한국과 대만의 수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설명하고 이러한 상황을 이겨나가기 위해서는 국가 지원과 신성장동력 발굴,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