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경찰, 전화금융사기(보이스피싱) 피해 예방 활동 [제공/연합뉴스] |
보이스피싱 범죄의 타겟이 고령층에 집중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국회 정무위원회 국민의힘 송석준 의원(경기 이천시)에게 금융감독원이 제출한 고령층(60세 이상) 대상 보이스피싱 현황 자료에 따르면 전체 보이스피싱 피해건수 중 고령층 피해 비중은 ‘18년 16.2%에서 ‘22년 상반기 현재 56.8%로 3.5배 증가했고, 전체 보이스피싱 피해금액 중 고령층 피해 비중도 ‘18년 22.2%에서 ‘22년 상반기 48.8%로 2배 이상 증가했다.
보이스피싱 범죄건수와 피해금액은 ‘18년 70,251건, 피해금 4,440억원에서 ‘21년 12,107건, 612억으로 감소추세지만 같은 기간 고령층 대상 범죄건수와 피해금액의 비중은 늘어, 고령층에 보이스피싱 범죄가 집중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 |
▲ 최근 5년(’18~’22년)간 고령층 대상 보이스피싱 현황 [제공/송석준 의원실] |
보이스피싱이 고령층에 집중된 이유로는 고령층이 스마트폰 등 전자기기 사용에 미숙하고, 정보수집 및 대처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한편 최근 보이스피싱 범죄수법은 문자메시지, 카톡 등으로 가족·지인을 사칭하며 개인정보 및 금전이체 등을 요구하는 ▲메신저피싱, 검찰·경찰 등을 사칭하는 ▲기관 사칭, 저리대출 대환 등으로 자금이체를 유도하는 ▲대출빙자 유형 등으로 진화 및 다양화되고 있다.
![]() |
▲ 사진=국민의힘 송석준 의원(경기 이천시) |
송석준 의원은 “평생을 모아온 돈들이 갑자기 허무하게 사라지는 것도 속상한데, 범죄 피해를 자책하는 어르신들이 많아 가슴이 아프다”며 “고액현금 인출 시 고령층의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문진이나 은행 직원이 직접 현금 인출 용도와 피해 예방 사항을 확인하는 방법 등 고령화 특화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