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 전망 가장 밝은 업종은 반도체...가장 어두운 업종은 숙박·음식점
-코로나19가 앗아간 일자리, 기업규제완화와 고용시장 유연화로 창출해야
![]() |
22일 한국경제연구원(원장 권태신)이 여론조사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거주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일자리 전망 국민인식’을 조사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77.3%는 올해 고용상황이 코로나19 이전(2019년)과 비교해 악화될 것이라 응답했다.
20대 응답자들은 53.2%가 올해 고용상황이 ‘매우 악화 될 것’이란 답을 내놨다. ‘매우 개선될 것’이란 응답은 아예 하나도 없는 ‘제로(0%)’여서 청년층에게는 가장 암울하게 내다보는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향후 가장 일자리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업종은 반도체(21.4%)가 꼽혔다. 바이오 등 신사업(20.6%)이 바로 뒤를 이어 신사업이 가져다 줄 고용 효과에 대한 기대 또한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일자리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는 업종은 숙박·음식점업(22.5%)으로 가장 높았다. 기계·선박·철강(17.4%), 건설(14.5%)이 그 뒤를 이었다.
조만간 일반 국민 대상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앞두고 있지만 대면서비스업에 대한 고용 악화 우려는 여전히 큰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19가 쏘아올린 고용 악화, 해결책은 기업규제 완화
고용상황 악화의 주된 원인은 45.3%기 ‘코로나19 지속’을 첫 번째로 꼽았다. 이어 ‘국회·정부의 기업규제 강화’(26.3%), ‘정부의 친노조정책’(10.7%), ‘기업경영실적 부진’(10.5%), ‘신성장동력산업 부재’(7.2%) 순으로 조사됐다. 고용여건 개선을 위한 과제로는 ‘기업규제 완화’(24.9%)가 첫 번째로 지목됐다.
해결 방안으로 제시된 것으로는 ‘근로형태 다양화 등 고용시장 유연화’(21.9%)가 중요한 과제로 꼽혔다.
연령별로는 20대의 경우 ‘기업규제 완화’(25.0%)와 ‘고용증가 기업 인센티브 확대’(21.2%)를 꼽아 10명 중 약 5명은 ‘기업 활성화 정책’을 지지했다. 40대는 다른 연령에 비해 ‘신산업 육성 지원’(21.8%)을 중요한 과제로 꼽아 주목을 끌었다. 60대는 ‘기업규제 완화’(27.3%)에 이어 ‘공공 일자리 확대’(19.5%)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월급은 제자리 걸음, 재테크는 부동산
어두운 고용 전망만큼 월급 상승에 대한 전망도 암울했다. 10명 중 약 7명(68.9%)은 물가 대비 월급이 오르지 않을 것이라 응답했다.
향후 소득향상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에 대한 질문에는 △주식, 부동산 등 재테크(32.9%) △업무역량강화 및 승진(14.9%), △창업(9.1%) △이직(7.8%) 순으로 응답했다.
주목되는 것은 부동산 규제가 지속적으로 강화됐지만 여전히 가장 유망한 재테크 수단으로는 부동산(30.1%)이 꼽혔다는 점이다.
주식(28.4%), 기타(16.6%), 금·구리 등 실물자산(8.3%), 예·적금(6.8%), 암호화폐(6.1%), 외화(3.7%)가 뒤를 이었다. 구체적으로는 성별·연령을 불문하고 부동산과 주식을 가장 유망한 재테크 수단으로 지목했다.
▲사진=한국경제연구원CI |
남성은 부동산(30.9%)을 여성은 주식(32.3%)을 각각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는 30대(33.4%)·50대(30.4%)·60대(31.1%)는 부동산, 20대(40.0%)·40대(28.9%)는 주식을 가장 좋은 재테크 수단으로 꼽았다.
또 20대에서 주식과 부동산에 이어 최근 투자열풍이 불고 있는 암호화폐(9.5%)를 지목한 것도 특징이다.
추광호 한경련 경제정책실장은“코로나19 완화 분위기에도 불구하고 국민들이 고용상황을 여전히 부정적으로 전망하고 있다는 것은 그만큼 우리 경제의 성장활력이 많이 약화된 것으로 볼 수 있다”며“국민들의 기대를 반영하여 일자리 창출을 막고 있는 규제를 완화하고 기득권의 진입장벽을 낮춘 고용시장 조성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라 주장했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