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서울 도봉구 아파트 ⓒ데일리매거진DB |
한국부동산원은 9월 첫째 주(6일 기준) 수도권(서울·경기·인천)의 아파트 매매 가격이 0.40% 올라 4주 연속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고 9일 밝혔다.
이는 부동산원이 주간 통계 작성을 시작한 2012년 5월 이래 가장 높은 수치다.
수도권 아파트값은 지난달 중순부터 8주 연속 최고 상승률을 이어가고 있다.
경기가 지난주에 이어 0.51% 오르며 5주 연속 최고 상승률 기록을 썼고 인천은 0.43%에서 0.44%로 상승 폭을 키웠다.
일부 시중은행이 신규 주택담보대출을 중단하고,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0.25% 포인트 인상하는 등 돈줄을 조이고 있지만, 집값 상승세는 좀처럼 꺾이지 않고 있다.
광역급행철도(GTX) 등 교통·개발 기대감에 지난달 말 정부가 의왕·군포·안산 경계지와 화성 진안·봉담 등에 신규택지를 조성 계획을 밝히면서 집값이 더 들썩이는 모양새다.
![]() |
▲ 수도권 아파트값 상승률 추이 [제공/연합뉴스] |
경기에서는 화성시(0.79%)가 봉담읍 중심으로 오르며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봉담은 신분당선 연장 호재와 함께 정부가 지난달 1만7천호 규모의 화성봉담3지구 조성 계획을 밝힌 지역이다.
안성·오산·평택시(0.76%)는 중저가 단지 등을 위주로 올랐고, 의왕시(0.70%)는 정부가 GTX C노선 의왕역 정차를 기정사실로 하면서 기대감에 역 주변을 중심으로 집값이 상승했다.
인천 역시 연수(0.64%)·계양(0.49%)·부평구(0.48%) 등 GTX 등 교통·개발 호재가 있는 단지 위주로 올랐다.
서울은 전주와 마찬가지로 0.21% 오르며 6주 연속 0.2%대 상승률을 이어갔다.
매물 부족과 기준금리 추가 인상 우려 등으로 거래는 줄었으나 강남 등의 인기 단지에서 신고가 거래가 이어지면서 집값 상승세가 유지됐다.
마곡지구를 중심으로 오른 강서구(0.30%)가 서울에서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고, 송파(0.27%)·강남(0.26%)·서초구(0.25%) 등 강남 3구도 높은 상승률을 나타냈다.
인천을 제외한 5대 광역시(0.22%→0.18%)는 상승 폭이 둔화했고, 경기를 제외한 8개 도(0.23%)는 전주와 같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세종(-0.05%)은 7주 연속 하락했다.
전국 아파트값은 0.31%에서 0.30%로 오름폭이 소폭 둔화했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