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데일리매거진ⓒ
[데일리매거진=최여정 기자] 우리나라가 초고령사회로 진입하는 2026년에 국내총생산이 2014년보다 7.95% 하락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은 9일 '고령화 시대의 성장동력 제고를 위한 고용률 수준 추정'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번 연구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를 대상으로 고령화율이 GDP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한 것이다. 고령화율은 65세 노령인구가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다. 고령화율이 20%가 넘어서면 초고령화사회라 불린다 .
보고서에 따르면 고령화율이 1%포인트 높아지면 GDP가 약 0.97%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경연은 이를 토대로 고령화율이 2014년 12.68%에서 2026년 20.83%로 8.15% 포인트 상승함에 따라 2026년에는 국내 총생산이 2014년 대비 7.95%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한경연은 고령화율이 2014년 12.68%에서 2026년 20.83%로 8.15% 포인트 상승함에 따라, 2026년에 국내총생산이 2014년 대비 7.95%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한편 국제연합(UN)의 분석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2050년 고령화율은 35.15%에 달할 전망이다. 국민 세 명 중 한명이 65세 이상 고령자인 셈이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국내총생산은 2014년 대비 21.90% 떨어질 것으로 추정됐다.
유진성 한경연 연구위원은 "고령화가 진행될수록 국내총생산 감소 현상은 불가피할 것"이라며, "적어도 GDP를 현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고용률 제고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유 연구위원은 "고용률이 1% 포인트 상승하면 실질 GDP가 약 1.02%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며, "2026년 고용률을 2014년(65.3%) 보다 최소 7.8% 포인트 높은 73.1%까지 끌어올려야 현재 수준의 GDP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취업자 수를 기준으로 환산할 경우 2014년보다 약 287만 명이 늘어나야 하는 셈이다.
한편 65세 이상 고령층의 노동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취업구조를 단순노동중심에서 전문지식분야로 확대하는 방안도 모색해야 한다고 한경연은 덧붙였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