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삼성전자 등기이사로 선임된 이재용 부회장
[데일리매거진=이재만 기자] 검찰이 최순실 게이트와 관련해 23일 오전 강남구 논현동에 있는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에 검사와 수사관 10여명을 보내 전격 압수수색에 나섰다.
검찰의 이번 삼성 미래전략실과 국민연금공단을 동시에 압수수색 한 것은 삼성이 지난해 그룹 지배구조 재편에 있어 중요한 의미가 있는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의 합병 성사 과정에서 국민연금은 합병에 찬성표를 주면서 합병 성사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에 대해 불법적 요인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해 더불어민주당(경기.파주시乙) 박정 의원은 지난 11일 있었던 국회 긴급현안 질의에서"보름만에 약 6,000억원의 손실을 감수하면서까지 삼성의 손을 들어준 과정에 불순한 의도를 가진 특정 세력이 개입되었다고 보는데, 어떻게 생각하냐?" “과연 국민연금이 국민을 위한 연금으로서 온당한 결정을 내린 것이라고 생각하느냐?”며 삼성과 국민연금공단과의 불순한 의도(?)를 전제로 이번 사안에 대한 질의를 하기도 했다.
▲사진=지난 11일 국회 긴급현안질의에서 질의하는 더불어민주당(경기.파주시乙) 박정 의원. [제공/박정 의원실]
또 박정 의원은“삼성의 제일 큰 고민은 이재용 부회장으로의 후계 승계구도를 완성하는 것이었는데 이 과정에서 국민연금이 삼성의 편을 들어주었기 때문에 가능했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박정 의원은 이에앞서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로 대한민국의 근간이 흔들리고, 국민들은 끝을 알 수 없는 국정 농단의 실상을 접하며, 분노를 금치 못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 “당시 국민연금공단 기금운용본부장은 최경환 전 부총리와 대구고 동기동창인 홍완선이 맡고 있었다”며 “박근혜-최순실 게이트와 연관이 있었던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
박정 의원은 이날 질의에서 “23.2%의 지분으로 이재용 부회장은 제일모직의 최대주주이긴 하지만, 삼성전자의 경우 0.57%의 지분만 갖고 있었다. 그런데도 이재용 부회장은 0.57%의 지분으로 거대기업 삼성전자의 주인 행세를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박 의원에 따르면 이재용 부회장은 합병을 통해 삼성물산의 삼성전자 지분 4.1%를 확보하게 되었고, 삼성생명 지분 19.4%를 보유하고 있는 삼성물산을 통해 삼성생명의 삼성전자 주식 7.2%까지 총 11.3%의 삼성전자 주식을 확보하게 되어 이를 통해 삼성전자에 대한 실질적 지배력을 갖게 되었다.
박 의원은 “이 모든 것을 가능하게 한 힘은 (삼성물산 지분 11.88%, 제일모직 지분 5.04%를 갖고 있던) 국민연금이 삼성의 편을 들어주었기 때문”이라면서 “이 과정에서 국민연금은 약 6000억원(삼성물산에서 3155억원, 제일모직은 2753억원 총 5908억원)의 규모의 평가손실을 보았다”고 비난했다.
박정 의원은 이날 보건복지부 장관에게 “SK C&C와 SK의 합병에는 반대하던 국민연금이 불과 보름만에 약 6,000억원의 손실을 감수하면서까지 삼성의 손을 들어준 과정에 불순한 의도를 가진 특정 세력이 개입되었다고 보는데, 어떻게 생각하냐?”라고 따져 묻기도 했다.
덧붙여 박정 의원은“과연 국민연금이 국민을 위한 연금으로서 온당한 결정을 내린 것이라고 생각하느냐?”며 질타했었다.
▲출처:박정의원실 제공
한편 검찰 특별수사본부는 23일 오전 8시40분부터 강남구 논현동에 있는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에 검사와 수사관 10여명을 보내 전격 압수수색에 나섰다.
검찰은 기금운용본부장실, 운용전략실 등에서 삼성물산 합병 관련 문건과 관련자들의 컴퓨터 하드디스크와 휴대전화, 내부 문건 등을 확보했다.
전북 전주에 있는 국민연금 본사와 전 기금운용본부장인 홍완선 한양대 특훈교수의 사무실 등도 압수수색 대상에 포함됐다.
또 검찰은 지난 8일에 이어 삼성 미래전략실에서도 동시 압수수색을 벌였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