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매거진=배정전 기자] 박영수 특별검사팀은 박근혜 대통령이 이미 알려진 KD코퍼레이션 외에도 특정 중소기업을 지정해 대기업 납품을 도운 정황을 새로 확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해당 업체는 청와대의 전폭적인 지원 속에 대기업과 수차례 접촉을 가졌지만, 납품은 성사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업체가 자격이 충분하지 않았던 탓에 대통령이 '우수한 기술을 가진 기업'으로 선정한 배후에 누군가의 입김이 작용하지는 않았는지 의혹이 일고 있다.
18일 법조계 등에 따르면 특검팀은 안종범 전 청와대 경제수석의 진술을 통해 데이터 전송 기술 업체인 P사가 KT, SKT, 포스코 등 대기업에 기술을 납품할 수 있도록 주선했다는 내용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안 전 수석은 또한 이런 행위가 박 대통령의 지시에 따른 것이었노라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검은 확보된 관련 진술 등을 토대로 청와대가 P사가 납품할 수 있도록 영향력을 미친 것이 '비선 실세' 최순실 씨와 관련된 것인지 등을 확인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KD코퍼레이션은 정유라씨 초등학교 동창생 아버지라는 친분으로 최씨의 추천을 받아 박 대통령의 도움을 받았다는 의혹을 사고 있다.
때문에 특검은 청와대가 P사를 지원한 경위도 KD코퍼레이션의 사례와 비슷한 것은 아니었는지 또는 이 과정에서 강압 등 위법 사항은 없었는지 조사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P사는 지난 2015년 4∼10월에 대기업 납품을 시도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그해 4월 박 대통령은 안 전 수석에게 'P사가 KT에 적합한 기술을 갖고 있다고 한다'며 납품을 도우라고 지시했고, 이러한 지시를 받은 안 전 수석은 황창규 KT 회장에게 이 업체의 기술을 활용할 수 있으면 좋겠다는 취지로 청탁했다.
하지만 KT는 이 업체를 만난 후 난색을 표했고 이에 박 대통령은 'KT가 안 되면 SKT로 알아보라'고 다른 기업으로까지 우회하며 재차 지시를 내렸다. 안 전 수석은 이형희 SKT 부사장에게 이 업체와 만나볼 것을 부탁했지만, SKT 역시 업체를 만난 뒤 기술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이후 안 전 수석은 포스코에도 동일한 내용으로 청탁했으나 결과적으로는 무산됐다.
P사 대표인 한모씨는 안 전 수석이 처음 연락해올 당시에도 이를 미리 알고 기다렸다는 듯이 행동하는 등 수상한 점도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한 대표는 KT, SKT 등 대기업이 예상과 달리 자사의 기술 도입에 소극적이거나 진행 속도가 더딜 경우 안 전 수석에게 '말씀을 넣어 달라'거나 '포스코를 연결해달라'는 등 수차례 부탁 문자를 보낸 것으로 전해졌다.
중소기업 대표가 청와대 경제수석에게 수차례 청탁을 할 수 있었던 데에는 청와대와 가까운 누군가의 영향력이 존재했기 때문은 아닌지 의심이 일고 있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