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매거진=이재만 기자] 박근혜 대통령 탄핵반대 집회를 청와대가 삼성 등 대기업의 돈을 지원 받아 보수우익 단체인 한국자유총연맹과 어버이연합등 보수·극우 성향 단체들의 '관제데모'에 지원했다는 의혹에 삼성,LG,현대차,SK가 대규모 자금을 지원한 정황이 속속 드러나 정치권에 논란이 일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청와대와 삼성이 개입했을 것이라는 추측은 있었지만 이러한 추측으로만 소문만 난무했으나 이같은 소문이 사실로 드러난 것이다.
이같은 '관제데모' 논란에 31일 더불어민주당 기동민 대변인은 일부 언론보도를 인용해“청와대 주도로 삼성, 현대차, SK, LG와 전경련이 돈을 모아 극우단체를 지원했고, 이를 통해 친정부 관제데모가 벌어졌고, 정무수석실이 주도한 지원회의에 매번 삼성 미래전략실 임원이 직접 참석해 지원 단체와 액수 등을 논의하고, 배분까지 했다”고 성토했다.
그동안 삼성이 최순실의 딸에게 거액을 지원한데 이어 관제데모에 까지 자금을 지원했다는 것이 민주당의 주장이다.
또 기동민 대변인은“이것이 스스로 그렇게 외치던 ‘글로벌 삼성’의 모습인가. 용서할 수 없는 범죄행위이다. 정말 부끄러운 줄 알아야 한다. 이게 무슨 대기업인가? 이런 천박한 인식으로 어떻게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기업이 될 수 있는가? 갈수록 실망스럽다. 돈을 댄 현대차, SK, LG 등도 별반 다르지 않다”고 목청을 높였다.
이런 가운데 특검에는 청와대와 재벌, 극우단체의 조직적 관제데모 의혹을 낱낱이 파헤칠 것을 강력히 촉구하기도 했다.
기 대변인은 덧붙여“직권 남용의 죄를 저지른 김기춘 전 실장과 청와대 관련자, 삼성 등 4대 재벌과 전경련, 관련 우익단체의 죄를 있는 그대로 밝혀내 처벌해야 하고, 정의롭지 못한 권력과 재벌, 우익단체의 짬짜미가 다시는 발을 못 붙이도록 본보기로 삼아야 한다”며 이들 기업의 철벌을 강력히 촉구하기도 했다.
국민의당도 김경진 수석대변인을 통해 청와대가 극우단체의 관제데모를 지원 관련한 자금은 삼성 등 대기업에서 지원했다는 의혹에 대해“관제데모에 적극 개입한 삼성은 박근혜 대통령 및 최순실과 나란히 국정농단 주범에 기록될 것”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김 수석대변인은 이날 현안 브리핑에서 “박근혜 정부는 관제데모를 민심으로 포장해 무능과 부정부패의 국정농단을 정당화하는 언론플레이로 악용해 왔다”면서 이 같이 말했다.
그는 또“관제데모의 컨트롤타워로써 청와대에서는 김기춘 전 대통령 비서실장이 있었고, 재벌 측에서는 김완표 삼성 전무가 있었다는 것 또한 밝혀졌다”고 지적했다.
김 수석대변인은 “특히 삼성은 그동안 전국경제인연합을 통한 (미르・K스포츠재단 설립)모금에 어쩔 수 없이 협력해왔다는 해명과 달리 적극적으로 관제데모 기획에 참여해 지원액 등을 정했다”고 강도 높게 비판하기도 했다.
그는 이 같은 의혹에 대해 “박근혜・최순실 국정농단이 아니라 박근혜・최순실・삼성 국정농단으로 불려야 할 혐의가 점점 추가되고 있다”며 “박영수 특별검사팀은 지금껏 해왔던 것처럼 성역 없이 삼성의 국정농단 개입혐의를 철저히 밝혀야 한다”고 주문했다.
정의당도 한창민 정의당 대변인이 나서“용납할 수 없는 반민주적 행위”라며 '관제데모' 의혹에 특검측에 철저한 수사를 촉구하고 나섰다.
한창민 정의당 대변인은 이날 국회 정론관에서 현안브리핑을 통해 “70년대를 떠올리게 하는 관제데모가 역시 청와대와 재벌의 합작품이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특검은 청와대와 삼성을 비롯한 대기업이 물밑 논의를 통해 관제데모를 총괄 지휘, 지원한 정황을 포착했다”면서 “지난 3년간 청와대는 4대 재벌로부터 돈을 받아 70억 가량을 극우단체에 지원했고, 어버이연합, 엄마부대 등 극우단체들은 청와대와 재벌의 지시에 따라 거리에서 충성을 다해 태극기를 흔들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청와대가 재벌과 짜고 친정부, 친재벌의 시위를 조작하는 것은 민주주의를 파괴하는 심각한 범죄”라며 “반민주적인 대국민 ‘여론조작’에 정부와 4대 재벌이 발 벗고 나섰다니, 나라 망신도 이런 망신이 없다”고 비난했다.
그는 “돈과 권력으로 유지되는 정권과 재벌은 비정상의 극치이자 정경유착의 참혹한 몰골”이라면서 “자신들이 일당을 주고 동원한 관제데모를 보며 ‘탄핵반대 시위가 촛불집회보다 규모가 커졌다’고 위안 삼는 박 대통령의 정신세계도 이와 다르지 않다”고 꼬집었다.
아울러 “청와대와 재벌대기업의 추악한 ‘공조’는 민주주의 최대의 적”이라며 “더 이상 반민주적 행위는 용납되어선 안 된다. 철저한 수사가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한편, 유경주 전 삼성전기 전무가 최순실의 추천으로 주 미얀마 대사에 임명됐다는 의혹에 이어 삼성의 관제데모 지원 의혹까지 불거지면서 특검의 이재용 부회장에 대한 구속영장 재청구가 임박한 것 아니냐는 추측이 제기되고 있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