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한폭탄 가계부채, 가구당 빚 8천만원…설상가상 이자까지 상승

경제 / 이재만 기자 / 2017-02-06 10:58:47
가계부채 빠르게 가속화
500¤±.jpg

[데일리매거진=이재만 기자] ] 주택을 담보 증가로 인한 가계부채가 이제 터질 듯 말 듯한 시한폭탄 수위까지 도달했다.

6일 금융권에 따르면 현대경제연구원의 홍준표 동향분석팀장은 올해 말 가계부채 규모가 약 1천500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했다.

최저는 1천380조원, 많게는 1천540조원을 예상했다. 1천500조원은 정부 1년 예산(약 401조원)의 4배 가까운 금액이다. 이는 가구당 7천800만원, 국민 1인당 2천900만원의 빚을 지게 된다는 얘기다.

가계부채가 급증함에 따라 가계부채가 우리 경제의 뇌관이 될 것이라는 우려가 크다. 가계부채가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것을 물론 증가세 역시 가속화되고 있다.

이는 저소득층의 가계경제에 많은 부담이 될 것으로 국내외 전문가들은 예상하고 있다.

경제 상황은 악화하고, 벌이도 안 되는데 그나마 낮은 이자율 탓에 근근이 버텼다. 그런데 이제 그마저도 어렵게 됐다. 대출이자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은행연합회의 주택담보대출 금리 상황을 보면, 5대 시중은행의 10년 만기 주택담보대출 평균금리는 작년 12월을 기준으로 3.30~3.58% 수준이다.

이는 작년 6월(2.66~2.92%)에 견줘 반년 만에 0.7%포인트 가까이 증가한 것이다.

금리가 오르면 당장 급한 건 자영업자들이다.

업종별로는 음식·숙박업의 폐업위험도가 10.6% 상승, 금리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한다.

중년층이 직장에서 은퇴한 후 많이 차리는 치킨집과 소규모 식당이 금리 인상의 직격탄을 맞을 수 있다는 얘기다.

더 우려스러운 것은 가계대출 자금이 부동산 광풍을 야기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심지어 서울 강남의 한 재건축 아파트 가격은 일주일 사이에 수천만원이 올랐을 정도다.

위험 수위에 다다른 가계 부채에 대한 경고음은 계속 울리고 있다.

전문가들은 차기 정부가 경기부양을 위해 대출 규제를 완화하기보다는 현재의 대출 규제 강화 정책을 유지하면서 일단 가계부채 문제부터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