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경제보복 대응 방법은?] 中,사드보복…"미국이 나서 중국에 똑같은 보복 조치 취해야"

경제 / 김용환 / 2017-03-04 16:23:39
"사드 배치, 미국에도 중요한 문제 동맹국인 한국 지원해야"

e.jpg
▲사진=美국방부가 지난 2015년 11월 웨이크 섬에서 공개 실시한 사드(THAAD) 시험발사 장면

[데일리매거진=김용환 기자] 중국발 사드(THAAD) 보복이 얼어붙은 우리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어디까지 그 영향이 미칠지 증권가를 비롯한 대중국 수출기업들, 이를 바라보는 국내 경제전문가들의 분석을 모아 봤다.


“특정 종목(면세점‧화장품주)이 사드이슈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향이 있지만 중국의 한국산 불매운동이 고착화될 가능성은 높지 않으며 이는 개별 종목에 미치는 실질적 영향에 대하여 시간을 두고 살펴봐야 한다”


지난 3일 코스피 급락을 지켜보며 증권관계자들의 한결 같은 말들이다. 이날 코스피는 전날보다 23.9포인트(1.14%)하락하며 2078.75로 마감했다.


이날 하루 투자자들은 중국발 사드 보복으로 상장 기업들의 실적부진 우려가 증폭되면서 일단 매물을 쏟아내는 모습이었다.


과연 중국발 사드보복의 위력은 어느정도일까. 전문가들은 “일단 소나기는 피해야 하지만 유사사례와 과거 경험 등을 통해 폭락장일수록 저가 매수의 기회를 노리는 사고의 전환이 필요한 시점일 수 있다”고 조언한다.


코스피지수는 이날 전날까지 심리적 저항선으로 통하던 2100선을 뚫고 고공행진 했지만 중국발 사드보복 이라는 정치적 이슈에 맥없이 2100선을 지키지 못하고 2080선까지 무너졌다.


중국에서 한국산 제품에 대한 불매운동이 본격화되고 중국에서 만든 현대차가 현지에서 성난 시민들에의해 부서지는 사태가 발생했다는 보도가 투자심리를 위축시킨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롯데그룹주의 경우 이틀연속 급락했다. 사드부지 제공 기업으로 낙인이 찍혀 중국 정부로부터 경제 보복 조치의 제1 타깃이 되고 있다. 롯데는 중국에서 대대적인 유통 사업을 펼치고 있다. 청도를 비롯한 중국의 5개 지역에 운영하고 있는 116개 대형마트와 17개의 슈퍼마켓이 진출하고 있는가운데 세무조사 등으로 롯데를 압박하는등 중국의 보복은 도를 넘는 수준으로 우리정부도 이를 당하고 묵과 할 수는 없는 지경이다


금융투자업계의 한 애널리스트는 “중국은 우리나라의 제1수출국이자 총 수출의 25%정도(약 1200억달러)를 차지하지만 중국역시 대(對 )한국 수출이 연간 900억달러에 육박한다”며 “중국입장에선 한국이 4위 수출국이다. 중국의 한국산 불매운동이 고착화될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중국이 한국으로부터 수입해가는 제품 중 중간재인 반도체와 화학제품이 상당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제조업 비중이 높은 중국 경제 상황을 감안할 때 제품 재료가되는 한국산 중간재 수입에 규제를 가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관심은 중국의 경제보복 조치가 언제까지 집중 될 것인가에 집중되고 있다. 일부에서는 우리 정부가 일방적으로 보복 당하는 것 보다 우리정부도 이에 해당하는 더 강력한 방식의 대중국 보복 대응을 주문하는 목소리도 일부에서 힘을 얻고있기도 하다.


일부 증권 전문가들은 중국의 경제보복 조치에 대해 과거 사례를 통해 볼 때 1년여 기간이 걸릴 수도 있지만 개별 종목 별로 실적을 감안, 저평가주에 대한 투자도 고려해야 할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또다른 의견으로 하나금융투자 리서치센터는 중국의 사드보복과 중국‧일본간 센카쿠 열도 분쟁 사례를 비교해 볼 때 중국인의 불매운동이 집중되는 개별종목별로 일시적 하락은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분석했다.


이렇듯 불안한 경제 예측들이 과거 일본의 사례에서 찾아 볼 수 있을 것으로 지난 2012년 9월14일 센카쿠열도 국유화 선언을 했고, 영토분쟁을 벌이던 중국의 일본산 불매운동은 불이 붙었다. 당시 한달여간 닛케이지수는 6.8% 급락했고, 도요타의 대 중국 수출은 전년동월대비 80%나 감소했었다. 이에 도요타 주가는 한달여만에 9%나 폭락하기도 했다.


이같은 사례와 견주어볼때 롯데그룹주의 추가 하락 가능성은 높다. 다만 중국의 사드관련 경제보복조치는 지난해 7월부터 시작됐었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


하나금융투자 A 연구원은 “이미 엔터테인먼트‧화장품주의 경우 중국발 보복조치에 따라 주가에 상당부분 반영된 부분이 있다”며 “당분간 중국에서 실적부진이 이어지더라도 국내와 다른지역의 실적이 뒷받침 될 수 있는만큼 주가 폭락이 장기간 일어나지는 않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대체적으로 중국발 경제보복 조치가 국내 기업들, 특히 화장품‧면세점‧여행 관련 기업에 당분간 악재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는 데 의견일치를 보고 있지만, 장기간 지속될 가능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금융투자업계의 한 관계자는 “이날 외국인과 기관투자자들의 동반 순매도로 지수하락 폭이 컸다”며 “개인투자자들의 경우 다음주 외국인과 기관 투자자들의 매매패턴을 살피면서 투자방향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또다른 중국이 우리정부를 대상으로 각종 보복행위와 조치를 전문가들은 비난하고 있다.


이들은 대북 영향력을 충분히 발휘하지 않고 있는 중국이 한국의 방어 자산을 문제 삼는 건 부당하다고 비판했다.


지난 1월 로렌스 코브 전 미 국방부 차관보는 '미국의소리' 기자 와의 인터뷰에서의 입장을 4일(한국시간) 지금도 유효하다며 "중국이 북한의 핵 개발과 실험을 막기 위해 해야 할 바를 이행하지 않는 한 (한국의) 사드 배치를 감수해야 할 것"이라고 본지와의 이메일 인터뷰에서 밝히기도 했다.


또 코브 전 차관보는 "북한을 억제하지 않고 있는 중국이 한국까지 위협해선 안 되며, 그런 시도는 성공하지 못 할
것"이라고 메시지를 통해 밝히기도 했다.


당시 고든 창 변호사도 '미국의소리'와의 인터뷰에서 "중국의 보복 조치는 한계가 분명하다고 내다봤다.


그는 "중국이 한국과 전쟁을 벌일 수도 없으면서 어느 정도 허세를 부리고 있는 것이며, 대외무역에서 침체 국면을 보이는 중국은 더욱 한국을 필요로 한다"는 설명을 덧 붙이기도했다.


창 변호사는 덧붙여 "사드 배치는 미국에도 중요한 문제인 만큼 미국이 중국에 비슷한 보복 조치를 취해 동맹국인 한국을 지원하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고 당시 주장했었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