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십억 원대 손해 입은 대청공영㈜ 납품업체들
현대건설, "일종의 경영간섭…직접 나서기 곤란"
[데일리매거진=김용한 기자] 현대건설(대표이사 정수현)이 대청공영㈜ 사태와 관련해, 자재 납품업체들에게 편법을 제시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의혹에 당사자인 현대건설은 하청업체에 대한 자재비 지급을 피하기 위해 편법을 동원했다는 의혹으로 이 과정에서 정수현 사장이 직접 개입한 것으로 보이는 정황도 포착돼, 논란이 상당 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사안에 문제가 시작은 지난 5일 제보자 B씨로 지난2016년 9월 현대건설의 하도급업체인 대청공영㈜의 대표이사 A씨가 거듭된 경영 악화로 스스로 목숨을 끊으면서 부터다.
해당 업체는 가락동, 석천동, 파주, 세종시 2차, 창원 2차 등 현대건설의 여러 현장을 담당했던 하도급 시공사였다.
A씨의 사망으로 피해를 본 건 대청공영㈜뿐 만이 아니었다. 대청공영㈜의 현장에 자재를 납품하던 재하청업체들에게 돌아갈 자재비가 제대로 지급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몇몇 업체는 지난해 3월부터 대금을 수령하지 못해 극심한 손해를 입은 것으로 전해진다. 총 추정 피해 규모가 수십억 원에 이른다는 게 납품업체들의 설명이다.
때문에 일부 재하청업체들은 원청업체인 현대건설에게 이 같은 상황을 해결해 달라고 지난해부터 강력히 호소했다. 하청업체에 대한 관리·감독 의무가 원청업체에 있는 만큼, 현대건설이 나서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더욱이 자재 상당량이 이미 현대건설로 넘어간 실정이었다.
하지만 이들에게 돌아온 건 대청공영㈜에 자재비 명목 대금을 지불했으니 그쪽에 물어보라는 형식적인 답변이었다는 전언이다.
익명을 요구한 B납품업체 관계자는 6일 오전 <시사오늘>과 만난 자리에서 "현대건설은 자재비를 대청공영㈜에 지급했으니까 거기서 받으라는데 대청공영㈜은 대금을 받지 못했다더라"며 "그래서 자재비 지급 내역을 달라고 현대건설 측에 요구했는데 그건 공개할 수 없다고 했다. 누군가 거짓을 말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벌써 이런 상황이 반년 넘게 지속되고 있다. 그러는 사이 우리들의 피해금액은 점점 더 늘고 있다"며 "대금을 지불할 책임이 없다는 말만 늘어놓고 있다. 대기업이 이럴 수가 있느냐. 하다못해 자재라도 돌려줘야 되는 거 아니냐"고 토로했다.
이에 대해 현대건설의 한 현장 관계자는 본지와의 통화에서 "납품업체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건 알고 있지만 우리 입장에서는 도움을 주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며 "하청업체의 문제를 원청이 건드리는 건 일종의 경영간섭이다. 안타깝지만 대청공영㈜과 해결해야 할 문제"라고 분명히 선을 그었다.
문제는 이 과정에서 현대건설이 편법을 동원했다는 의혹이다.
자재비를 지급하는 대신 다른 현장에 자재를 납품할 수 있도록 도와주겠다고 일부 납품업체들에게 거래를 제안한 것이다.
7일 본지와 만난 C납품업체 관계자는 "올해 초에 현대건설로부터 돈 대신 다른 공사현장을 뚫어줄 테니 이쯤에서 정리하자는 말을 들었다"며 "대금 지급을 피하려고 꼼수를 부리는 거라는 생각이 들었다.
자재 납품업체를 선정하려면 입찰을 해야 되지 않느냐. 대놓고 불법행위에 가담하라는 의미다.
또한 정수현 현대건설 사장이 편법 동원을 직접 지시한 게 아니냐는 의혹도 나온다.
D납품업체 관계자도 본지와의 통화에서 "현대건설이 계속 책임을 회피해서 몇몇 업체들이 모여서 정 사장의 최측근에게 도움을 요청한 적이 있다"며 "그 직후 현대건설로 부터 다른 현장을 주선해 주겠다는 제안이 들어왔다."며 이는 "정 사장이 개입했다는 정황상 증거"라며 꼬집기도 했다.
공정거래위원회의 관계자는 본지와의 통화에서 "만약 원청업체에서 공정한 경쟁입찰 없이 현장 거래를 연결해 주겠다는 식의 제안을 한 게 사실이라면 문제의 소지가 있다"고 해석했다.
이에 대해 현대건설의 관련 사업본부 관계자는 이날 본지와의 통화에서 "자재비 대신 다른 현장을 연결해 주겠다는 제안을 한 바 없다. 납품업체 측에서 오해를 한 것 같다"며 "정 사장의 개입설 역시 사실무근"이라고 해명했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