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택-2017] 19대 대통령 선거 안개속 ‘장미대선’ …예비후보자 20명 얼굴은 봐야지!!

국회·정당 / 김용환 / 2017-04-09 20:08:42
무소속 대통령후보자 포함 총 입후보자 17~18명

cats3-.jpg
▲사진=중앙선거관리위원회 등록된 제19대 대통령 예비후보자 명부 [출처/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

[데일리매거진=김용환 기자] 19대 대통령 선거가 10일을 기해 앞으로 29일을 남겨놨다. 현직 대통령 탄핵이라는 헌정 사상 유래가 없는 이번 선거는 말 그대로 봄에 치뤄지는 안개속의‘장미대선’이다.


이번‘장미대선’의 출발은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국민의당 안철수, 자유한국당 홍준표, 바른정당 유승민, 정의당 심상정 후보 등 5자 구도로 닻을 올린 대선 구도는 본선 레이스에 돌입하면서 요동치고 있다. 이 외의 언론의 주목을 받지 못 하는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무소속 대통령후보자 까지 포함하면 총 입후보자는 무려 17~18명에 이른다.


이런 가운데 그동안 당내 경선 도중 문자폭탄 문제로 다른 후보 지지들과의 잡음으로 시끄러웠던 문재인 후보의‘대세론’속 독주 구도가 본선 출발과 함께 차떼기 논란으로 시끄러웠던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의 지지율 급상승으로 ‘2강 3약’ 구도로 재편되고 있는 가운데 범보수·김종인발 군소연대·심상정 야권 연대 등 단일화 요인도 주목하는 부문이다.


각 후보자들간에 다양한 단일화 변수도 이번 대선에 주요 변수 요인으로 주목된다.


우선 경남도지사직 사퇴와 관련에 논란이 일고 있는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와 배신자로 낙인찍힌 바른정당 유승민 후보가 범보수 후보의 단일화를 완성하고 독자적으로 보수층 결집에 나설지도 관심이다.


다만 범보수 후보의 지지율 합계가 지금의 10%대 박스권을 넘어 20%대에 오르지 않을 경우 찻잔속 태풍에 그치면서 문재인·안철수 양강구도로 굳어질 가능성이 크다. 이는 보수후보를 선택해도 승산이 없다는 사표심리가 안철수 후보 지지로 현재처럼 이어질 수 있다는 얘기다.


구(舊)야권 후보 간의 ‘양강대결’이 뚜렷해지는 흐름 속에서 지지세가 상대적으로 약한 홍 후보와 유 후보는 보수층 쟁탈전을 벌이고 있다.


개헌과 협치를 매개로 한 합종연횡 움직임도 꺼지지 않은 불씨로 남아 있다. 뻔해 보이던 이번 대선판이 예측 불가로 돌아선 모양새다.


남은 기간 대선 결과를 좌우할 결정적 변수로는 보수성향 유동층의 향방과 후보 단일화 여부, 선거비용 문제, 네거티브에 따른 득실 등이 꼽히고 있다.


이번 대선 특징은 과거와 다르게 보수정당이 힘을 거의 쓰지 못하는 불안정한 구도가 됐다는 점이다. 우선 보수 진영은 반기문 전 유엔사무총장을 거쳐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이후 이렇다 할 대표선수를 찾지 못하고 있다. 현재처럼 홍 후보와 유 후보의 지지율 합이 15% 내외로 묶인다면, 안 후보가 사실상 중도 보수층의 지지를 계속 이어받을 확률이 커 보인다.


한국갤럽이 지난 4∼6일 전국 성인 1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 한국갤럽 또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에서 안 후보는 보수층에서 42%의 지지를 얻어 범보수 주자인 홍 후보(22%)와 유 후보(5%)를 크게 앞섰다.


안 후보는 본선 이후 지지율이 껑충 뛰어올라 문 후보와 양자구도를 형성했지만, 지지율이 빠르게 상승한 만큼 결집력이 약하다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문 후보가 ‘대세론’을 회복하거나 안 후보의 추격세가 꺾일 경우 일종의 ‘대안’으로 안 후보를 지지해온 보수층이 떠나갈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안 후보에게 흘러들어온 보수층 지지가 상대적으로 견고하지 않다는 점 때문에 ‘안철수 때리기’ 양상도 거세지고 있다.


지난주부터 국민의당 경선 선거인단 동원 의혹, 종교단체 연루 의혹, 말 바꾸기 논란 등 네거티브 공세는 점입가경을 이루고 있다.


조기 대선으로 검증 기간이 짧아 상대적으로 네거티브 선거가 힘을 발휘할 수 있는 상황으로 분석되면서, 이런 양상은 더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후보 단일화 문제는 각 당에서 선출된 후보들이 저마다 ‘자강론’을 내세우면서 잠잠해진 상태다.


특히 키를 쥐고 있는 안 후보가 “정치공학적 연대론을 모두 불살랐다”고 선을 그어 성사 가능성은 더 낮아졌다. 또 호남을 기반으로 한 국민의당이 보수세력과 연대하는 것은 득보다 실이 더 많다는 게 정치권 안팎의 시각이다.


홍 후보와 유 후보 간 단일화와 합당 주장도 힘을 잃고 있다. 유 후보 측에서 부정적인 입장을 강하게 피력하는데다 각 정당 주도세력 간 갈등이 심해 연대가 쉽지 않다는 분석이다.


하지만 막판 후보 단일화 가능성은 득표율에 따른 국고 지원금 문제가 변수로 떠오른다.


득표율 15%에 미치지 못한 후보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지정한 일인당 최대 509억 9400만원의 선거비용 중 절반 내지 전부를 보전 받지 못하기 때문이다. 한 자릿수대 득표 후보는 한 푼도 돌려받을 수 없다.


이 때문에 지지율 회복이 어려운 후보는 비용 압박으로 완주를 포기하거나 마지못해 단일화 협상을 해야 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한편 김종인 전 민주당 대표와 정운찬 전 국무총리 등의 연합과 이를 주축으로 기존 정당 후보와의 단일화 추진 등도 일각에서 거론되고 있으나 일각에서는 실현 가능성에 대해서는 고개를 갸웃거리는 이번‘장미대선’은 전문가도 가늠하기 힘든 안개속의 대선 정국이 펼쳐 질 것 이라는데 정치 전문가들의 한마디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