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주·흡연 체내 중금속 농도 높인다

사회 / 김영훈 / 2017-06-13 11:59:56
납 54%, 카드뮴 11%, 수은 89%

201703140922007067.jpg


[데일리매거진=김영훈 기자] 일주일에 4번이상 음주를 하는 사람은 음주를 하지 않는 사람에 비해 체내 중금속 농도가 납은 54%, 카드뮴은 11%, 수은은 89%나 높게 나타났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010년부터 2015년까지 우리국민 4000명을 대상으로 체내 중금속 농도 변화를 추적 조사하고 체내 중금속 농도와 식품 섭취, 생활습관 등과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조사됐다고 13일 밝혔다.


조사 결과 체내 중금속 농도는 2010년에 비해 2015년에 납은 12%(2.13㎍/㎗→1.87㎍/㎗), 카드뮴 2%(1.04㎍/L→1.02㎍/L), 수은 23%(3.78㎍/L→2.91㎍/L) 정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을 통한 중금속 노출량도 납 0.175 ㎍/kg b.w./day, 카드뮴 0.235 ㎍/kg b.w./day, 수은 0.085 ㎍/kg b.w./day로 각각 낮아진 것으로 평가됐다.


식품을 통한 중금속 노출량도 납 0.175 ㎍/kg b.w./day, 카드뮴 0.235 ㎍/kg b.w./day, 수은 0.085 ㎍/kg b.w./day로 1차 조사에 비해 낮아진 것으로 평가됐다.2010년 1차 조사의 식품을 통한 노출량은 납 0.205 ㎍/kg b.w.day, 카드뮴 0.260 ㎍/kg b.w./day, 수은 0.110 ㎍/kg b.w./day이었다.

체내 납과 수은 농도는 남성이 여성보다 높았는데 식품을 통한 노출량에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어 음주나 흡연 등 시굼 이외의 다른 노출요인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약처는 우리국민의 체내 중금속 농도를 지속적으로 줄여나가기 위해 성인을 중심으로 식품이외 추가적인 노출요인들을 분석한 결과 음주, 흡연, 식습관 등의 요인이 체내 중금속 농도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했다.


분석 결과 과도한 음주는 체내 중금속 농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성인 중 음주하는 사람(1주일에 4번 이상)이 음주를 하지 않는 사람에 비해 체내 중금속 농도가 납은 54%, 카드뮴은 11%, 수은은 89%나 높게 조사됐다.


식약처는 이 기간 동안 중금속 농도가 30%이상 감소 또는 증가한 집단의 식습관을 분석한 결과, 체내 중금속 농도가 감소한 집단이 증가한 집단에 비해 어패류, 유제품을 많이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칼슘, 엽산, 철분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는 어패류, 유제품을 섭취하는 식습관이 체내 중금속 농도를 낮추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칼슘·철분은 체내 중금속 흡수를 방해하고, 중금속 배설에 도움을 주는 영양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남자의 경우 음주와 흡연을 동시에 하는 집단이 비음주 비흡연 집단에 비해 체내 중금속 농도가 2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