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대통령, 통일부 장관 '조명균' 내정

국회·정당 / 이재만 기자 / 2017-06-13 15:36:02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논란의 키맨

ASASA.JPG
▲사진=조명균 전 통일부 교류협력국장 [출처/다음]


[데일리매거진=이재만 기자] 13일 문재인 정부의 초대 통일부 장관으로 조명균 전 통일부 교류협력국장(60)이 지명됐다.


1957년 경기도 의정부에서 태어안 조 후보자는 성균관대 통계학과를 졸업하고 행정고서 23회로 국세청에서 공직생활을 시작했다. 1984년 통일부로 자리를 옮긴 뒤 교류협력국장, 경수로기획단 정책조정부장, 개성공단 사업지원부장, 대통령 비서실 통일외교안보정책 비서관등 요직을 거쳤다.


김 후보자가 유명세를 떨친 것은 노무현 전 대통령의 청와대 안보정책비서관 시절이던 2007년 남북정상회담에 배석해 대화록을 정리한 것으로 알려지면서다. 그 대화록을 2012년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관련 자료를 폐기했다는 혐의로 재판을 받기 시작하면서다.


당시 검찰은 노 전 대통령이 북방한계선(NLL)을 포기하겠다는 취지의 회의록 초본을 삭제하고 대통령 기록관으로 이관하지 않은 것으로 보고 기소하면서 논란의 중심으로 떠올랐다.


청와대는 조명균 후보자를 통일부 장관으로 발탁한 배경에 대해 "남북회담 및 대북전략에 정통한 관료 출신으로 새 정부의 대북정책과 남북문제 현안에 대한 이해도가 높다"면서 "정책기획부터 교류, 협상까지 풍부한 실전 경험을 가진 정책통"이라고 평가했다.


청와대는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체제 구축, 한반도 新경제지도 구상, 새 정부의 남북관계 기본방향 정립 등 통일부의 주요 과제들을 유능하게 추진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한편 조명균 장관 후보자는 현재 재판을 받고 있다. 그는 '2007년 남북정상회담 회의록 폐기 및 무단 반출 혐의'로 1·2심에서 무죄를 선고 받았고, 현재 대법원 판결만 남겨두고 있다고 한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