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문재인 대통령 [출처/YTN]
[데일리매거진=이재만 기자] 문재인 대통령은 15일 “강경화 외교부 장관 후보자는 흔히 쓰는 표현으로 글로벌한 인물로, 우리도 글로벌한 외교부 장관을 가질 때 되지 않았느냐”며 강 후보자 임명 강행을 시사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주재한 수석비서관-보좌관회의 모두 발언을 통해 “강 후보자는 당차고 멋있는 여성이며, 유엔과 국제사회에서 외교관으로서 능력을 인정받고 칭송받는 인물”이라며 이와 같이 밝혔다.
문 대통령은 “강 후보자에 대한 야당들의 반대가 우리 정치에서 있을 수 있는 일이라고 생각한다”면서도 “그러나 반대를 넘어 대통령이 그(강 후보자)를 임명하면 더 이상 협치는 없다거나 국회 보이콧과 장외투쟁까지 말하며 압박하는 것은 참으로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토로했다.
이어 “우리 헌법과 법률은 정부 인사에 관해 대통령과 국회의 권한을 분명하게 정하고 있다”며 “국무총리와 대법원장, 헌법재판소장, 감사원장 등의 임명은 국회의 동의를 받도록 헌법에 규정되어 있다”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대통령이 국회의 뜻을 반드시 존중해야 하지만 장관 등 그 밖의 정부 인사는 대통령의 권한이므로 국회가 정해진 기간 안에 인사청문 경과보고서를 송부하지 않으면 대통령이 그대로 임명할 수 있게 돼있다”고 말했다.
이어 “과거에는 인사청문 절차 자체가 없었던 것인데, 참여정부 때 검증의 수준을 높이기 위해 청문절차를 마려한 것”이라며 “그래서 청문회에서 후보자를 강도 높게 검증하고 반대하는 것은 야당의 역할이자 본분일 수 있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그러나 그 검증 결과를 보고 최종적으로 판단하는 것은 국민의 몫”이라며 “대통령은 국민의 판단을 보면서 적절한 인선이지 되돌아보는 기회를 갖는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강 후보자가)국제사회에서 인정받는데 한국에서 자격이 없다면 어떻게 납득할 수 있겠느냐”며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과 역대 외교장관들을 비롯한 많은 국내외 외교전문가들이 강 후보가 이 시기 대한민국 외교부 장관으로 적임자라고 지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또 “더구나 지금은 한미 정상회담이 보름 밖에 남지 않았고 이어서 G20 정상회의와 주요 국가들과의 정상회담이 줄줄이 기다리고 있다”며 “외교부 장관 없이 대통령이 어떻게 감당할 수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저는 국민의 뜻에 따르겠다”며 “야당도 국민의 판단을 존중하여 주길 바라고, 부탁드린다. 외교적인 비상상황 속에서 야당의 대승적 협력을 간곡히 호소한다”고 덧붙였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