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한국은행 ⓒ데일리매거진
[데일리매거진=한서희 기자] 빚을 갚을 능력이 매우 취약한 이른바 '고위험 가구'가 30만 가구를 넘는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은행이 22일 국회에 제출한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2016년 가계금융복지조사 자료를 활용해 분석한 결과 가계부채가 부실해질 수 있는 ‘위험가구’는 지난해 3월 말 기준으로 126만3000가구로 집계됐다.
위험가구는 전체 부채가구의 11.6%를 차지했고, 이들 가구가 보유한 금융부채 규모는 186조7000억원(총 금융부채의 21.1%)에 달했다.
이 가운데 고위험가구는 31만5000가구(부채가구의 2.9%)로 집계됐다. 고위험가구는 처분가능소득으로 원금과 이자를 갚을 능력을 나타내는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40%를 넘고 부채가 자산보다 많은 가구를 말한다. 고위험가구의 부채는 62조원(총 금융부채의 7.0%)이었다.
처분가능소득으로 원금과 이자를 갚을 능력을 나타내는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40%를 넘고 부채가 자산보다 많은 가구다.
문제는 앞으로 금리 상승으로 절박한 상황인 고위험 가구가 늘어날 공산이 크다는 점이다.
미국 중앙은행(Fed)이 지난 15일(한국시간) 정책금리를 연 1.0∼1.25%로 올리면서 상단이 한국은행 기준금리(연 1.25%)와 같은 수준이 됐다.
최근 한은도 자본유출 우려 등을 감안해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시사했고 금융시장에서는 이르면 올해 하반기 기준금리가 오를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한편 지난해 기준으로 베이비붐 세대의 가구당 평균 금융부채는 5800만원으로, 나머지 가구의 평균(4400만원)보다 32% 가량 많았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