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충제 계란' 후폭풍 '농피아' 로 전선 확대 …‘계란 및 알가공품 안전관리 대책' 朴 정권, 우병우 前 수석이 막았다

사회일반 / 김태일 / 2017-08-20 15:30:39
제빵업계 '살충제 계란' 사태 불똥, 대형 제빵 A업체 17∼18일 매출 전주보다 20% 이상 감소

cats.jpg
▲사진='살충제 계란' 으로 서울의 힌 베이커리 겸 카페에서 '당분간 베이커리 판매를 중단합니다'라 적힌 안내문 [제공/연합뉴스]

[데일리매거진=김태일 기자] 관계당국의 안일한 '살충제 계란'대처에 파장이 더울 확산되면서 기업은 물론 국민 불안으로 더욱 확산되는 모양세다.


이번 사태의 '살충제 계란' 파동에 정부가 전국 산란계 농가에 대한 전수조사 결과를 발표했지만, 엉터리 부실조사 논란이 증폭되면서 식당가와 계란을 주 원료로 하는 기업에 미치는 후폭풍도 거세다.


20일 서울 의 한 김밥 전문점에는 점심시간임에도 자리에 착석한 손님이 한 테이블에 불과했다.


주문·포장을 기다리는 손님은 아예 없었다.


이 식당에서는 김밥 재료로 사용되는 계란이 살충제 검사결과 '적합' 판정을 받았다는 내용의 '식용란 살충제 검사결과 증명서'도 내걸었지만, 손님들의 불안감을 잠재우는 데는 별 효과가 없었던 셈이다.


해당 식당 주인 임 모 씨는 "주변에 아파트 단지가 많아서 평일보다는 주말 점심에 전화 주문이 더 많은 편인데, 오전 11시에 영업을 시작하고 나서 1시간 동안 전화 주문이 채 10건도 안 된다"며 "지난 주말 이틀과 비교해 보더라도 전체적으로도 매출이 절반 이상 줄었고, 아예 계란을 빼달라는 손님도 많다"고 울상을 지었다.


제빵업계에도 '살충제 계란' 사태의 불똥이 튀었다. 대형 제빵 프랜차이즈 A업체의 경우 17∼18일 매출이 전주보다 20% 이상 감소했다.


빵에 살충제 성분이 들어간 계란을 사용했을지도 모른다는 소비자 우려 때문이다.


정부의 전수조사 결과를 놓고 부실검사 논란이 증폭되면서 '적합' 판정을 받고도 판매재개를 안 한 경우도 있었다.


서울의 또 다른 베이커리 겸 카페는 이날 '당분간 베이커리 판매를 중단합니다'라고 적힌 안내문을 내걸기도 했다.


해당 안내문에는 '정부의 미흡한 대처와 형식적인 조사로 인해 계란에 대한 보완조사가 재진행된다고 한다. 검사결과의 신빙성을 판단해 판매를 재개하겠다'고 적혀있었다.


이 카페 주인은 "당초 전수조사 결과가 나오면 판매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했는데, 부실조사로 불안과 불신만 더 가중된 것 같다"며 "납품받고 있는 계란이 적합 판정을 받았다는 통보는 왔지만, 신뢰가 가지 않아 보완조사 결과가 나올 때까지 판매재개를 하지 않을 생각"이라고 말했다.


이같은 '살충제 계란' 파문은 정치권으로 번지는 모양세다. 먼저 지난 17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자유한국당 의원들은 살충제 계란 사태와 관련해 류영진 식약처장을 해임해야 한다고 요구하기도 했다.

이에 제윤경 원내대변인은 20일 서면 논평을 통해 “살충제 계란에 친환경 인증을 해준 민간업체들은 대부분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출신이다. 이른바 농피아들이 장악한 적폐의 문제”라며 “파동의 원인을 굳이 찾자면 식품안전 관리를 철저히 하지 못한 이전 정부에 있다”고 밝혔다.


한편 정부가 2015년 계란 안전관리 강화를 위한 ‘계란 및 알가공품 안전관리 대책'을 마련했지만 박근혜정부 당시 청와대 민정수석실에서 시행을 막은 것으로 드러났다는 한 언론 보도가 나오면서 '살충제 계란' 파동은 이전 정권으로 전선이 확산되는 분위기다. 당시 민정수석은 우병우 전 수석이었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