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매거진=김용환 기자] 제조업 재고 증가율이 2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26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 1분기 제조업 재고는 전년 동기 대비 10.4% 증가했다. 재고는 기업에서 생산한 제품 중에서 시장에 내다 팔지 않은 상품을 말한다. 재고가 빠르게 늘어나는 것은 그만큼 경기가 나쁘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제조업 재고는 2016년 3분기부터 2017년 1분기에 각각 1분기와 2분기에 그쳐 2017년 2분기 0.1% 증가하는데 그쳤다. 하지만 작년 3분기 증가율은 2.5%에서 지난해 4분기 8.8%로 증가했고, 올 1분기 증가율은 두 자릿수 증가율을 나타냈다.
올 1분기 제조업 재고 증가율은 2016년 1분기(10.5%)이후 가장 높았다. 주요 제조업별로 보면 반도체, 자동차, 1차 금속(철강)의 재고 증가율이 빠르게 올랐다. 반도체 재고 증가율은 지난해 3분기 6.4%에서 4분기 32.9%, 올해 1분기 53.1%로 높아졌다.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재고율도 지난해 3분기(18.0%)와 4분기(18.6%)에 이어 1분기(15.1%)연속 3분기 연속 두 자릿수 증가세를 이어 갔다. 1분기 금속 재고는 지난해 3분기 3.8%에서 4분기 14.0%로 4분기에도 13.6% 증가했다.
한은은 지난달 보고서에서 "자동차 재고가 증가한 것은 국산 자동차의 경쟁력 약화,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 체계)의 영향력이 업계의 불황을 가져왔다"고 진단했다.
김정식 연세대 교수는 "경기 침체의 초기까지 아니지만 경기 회복세는 국내 경기 회복세를 따라가지 못할 것"이라며 "경제 흐름이 한두달 앞으로 다가올 것"이라고 말했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