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매거진=안정미 기자] 지난해 우리나라의 국부(國富)를 뜻하는 국민순자산이 5.7% 증가했다.
19일 한국은행과 통계청이 발표한 2017년 국민자산대차대조표(잠정)에 따르면 2017년까지 우리 국민의 순자산은 전년보다 741조5000억원(+5.7%) 늘어난 1경3817조5000억원으로 달했다.
1년 전에 비해 국민순자산은 741조5000억원 늘었다. 비금융자산은 1경3351조5000억원으로 811조3000억원 늘었고 순금융자산은 266조원으로 69조8000억원 감소했다.
비금융자산을 자산형태별로 보면 생산자산이 2017년말 현재 6062조4000억원으로 전년대비 347조1000억원(+6.1%) 늘어났으며 비생산자산은 7489조1000억원으로 464조2000억원(+6.6%) 증가했다.
비금융 자산의 가격 상승률은 2007년 10.6%에서 2008년 3.6%로 높아졌다가 2013년 0.9%로 떨어졌으나 이후 상승세로 돌아서 2017년에는 3.9%로 높아졌다. 자산(토지 자산, 지하 자원, 목축업자)은 2017년 5.1%로 5.1% 높은 자산가격 상승률을 보인 가운데 2013년 이후 낮은 수준을 지속하던 생산자산(고정자산, 재고자산)의 가격상승률이 2017년 2.3%로 크게 확대 됐다.
순수금융자산의 감소는 대외 금융 부채의 증가로 이어졌다. 지난해 국내 증시가 호황을 보임에 따라 외국인 투자가들이 보유한 주식 투자 가치가 높아진 비자발적 요소도 한몫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국민이 해외에 투자한 금융자산인 대외금융자산에서 대외금융부채를 뺀 순대외금융자산은 2016년 2779억달러에서 지난해 2483억달러로 증가폭이 둔화됐다.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자산은 9750조원으로 전년보다 650조 2000억원(7.1%) 늘었다. 이는 주가 상승 등으로 인해 금융자산이 277조2000억원 증가한 데 따른 것이다. 주택자산이 262조2000억원 늘어난 점도 영향을 미쳤다.
제도 부문별로는 2017년 말 현재 가계와 비영리단체가 8062조7000억원으로 가장 많은 순자산(58.4%)을 차지했다. 이어 일반 정부 3821조 3000억원(27.7%), 비금융 법인 1652조 1000억원(12.0%), 금융 법인 기업(281%)순이었다.
2017년에는 가정 및 비영리 단체(+529조6000억원)와 일반 정부(+276조1000억원), 금융법인(6조원)의 비금융자산을 중심으로 순자산이 늘어나고 비금융법인(-70조 2000억원)의 순금융자산이 줄어들면서 순자산이 감소했다.
통계청 박상영 소득통계과장은 "지난해 주가가 크게 올랐지만 외국인이 보유한 주식이 기업의 금융 부채에 포함되면서 순자산이 줄었다. 게다가 원화 강세로 순자산의 감소폭도 커졌다"고 말했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