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매거진=서태영 기자] 올해 상반기 아파트 가격이 일제히 하락한것으로 조사됐다. 똘똘한 한채를 부르짓는 강남 3구를 제외(?)하고 평균적으로 서울 아파트 가격이 6년만에 하락을 한 것으로 전국적으로 가장 많이 내린 곳은 경남 김해시가 이름을 올렸고 가장 많이 상승한 지역은 전남 광양시다.
하락폭이 가장 큰 지역은 경남 김해시 6.58% 하락
김해시, 아파트 전셋값도 의왕시 -14.13%에 이어 두 번째인 9.83% 하락
지난 2일 발표한 한국감정원 주택가격동향 조사 결과, 올해 상반기 전국 아파트 값은 1.85% 하락했다. 이는 2013년 -0.14% 하락한 이후 6년만이다.
하락폭이 가장 큰 지역은 경남 김해시로 6.58% 하락했다. 이는 거제시와 함께 조선업 불황 등 지역경기 침체와 입주물량 증가 등의 영향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김해시는 아파트 전셋값도 의왕시 -14.13%에 이어 두 번째인 9.83% 하락했다. 김해에 이어 김천시가 -5.76%의 순을 보였고, 충주시는 -5.67%로 그 뒤를 달렸다.
수도권에서 가장 낙폭이 큰 지역은 광명시로 5.65% 떨어졌다. 이 지역은 지난해 8~9월 재건축 추진 단지와 저가 단지를 중심으로 투자 수요가 대거 몰리면서 아파트값이 단기 급등했다가 9.13 대책 이후 매수세가 위축되면서 가격이 하락한 것으로 해석된다.
강원도는 평창동계올림픽 폐막 이후 투자 수요가 감소했고, 하남시는 새 아파트 입주 물량의 증가로 하락폭이 컸다.
수도권 아파트 값은 1.67% 하락했는데 9.13 대책과 입주물량 증가가 영향을 미쳤다. 서울 아파트 값은 올해 상반기 1.79% 내렸고, 지역별로는 강동구의 아파트값이 -4.35%로 하락폭이 가장 컸고 강남구가 -3.40%, 서초구 -2.50%, 송파구가 -2.28%를 기록했다.
양천구도 연초 목동신시가지를 중심으로 급매물이 늘어나며 2.55% 하락했다.
그러나 서울은 3월 중순 이후 급매물이 팔리기 시작하면서 지난달부터는 통계상으로 상승 전환한 단지들이 늘고 있어 앞으로 하락세가 계속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아파트 가격이 상승한 지역은 전남 광양시로 2.53%로 올라 전국에서 상승폭이 가장 컸다. 이 지역은 제철소 등 철강업체 근무 수요가 꾸준한 데다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이 높아 외지인의 갭투자가 증가하면서 가격이 상승했다는 게 현지 중개업소의 설명이다.
재개발·재건축 등 정비사업 영향으로 대전광역시의 아파트값도 0.87% 올랐다. 대전은 매수세가 몰린 유성구와 중구의 아파트값이 각각 1.85%, 1.18% 오르며 상승세를 견인했다.
하반기 아파트 가격은 물량 공급과 더불어 금리 하락 가능성 등이 혼재되면서 앞날을 예측하기 힘들 것으로 예상된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