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26에 얽힌 대권 주자들의 속내는?

정치일반 / 배정전 / 2011-08-29 12:12:35

cats.jpg

[데일리매거진=배정전 기자] 10월26일 재·보궐선거는 여야 대선레이스에도 중대 변수로 떠올랐다. 갑자기 돌출했지만, 그 성적표에 따라 대선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큰 선거가 된 것이다. 직간접적으로 10월 재·보선에 얽힐 수밖에 없는 대선 주자들도 물밑에서 승부 호흡을 다듬기 시작했다. 여도 야도 복지정책이 충돌하는 정책 주도권과 대선 고지의 선점 문제가 결부돼 있는 상황이다.

한나라당에선 박근혜 전 대표(59)가 이번 재·보선에 관여할지가 관심이다. 한나라당에선 박 전 대표의 10월 재·보선 지원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이번 무상급식 주민투표에 거리를 둔 것이 ‘패배’ 원인이 됐다는 책임론도 제기하고 있다. 내년 4월 총선 출정을 예고한 박 전 대표는 아직 이에 대한 언급이 없다. 박 전 대표의 대변인 격인 이정현 의원은 “박 전 대표로부터 서울시장 선거 지원에 관한 어떤 언급도 들은 바 없다”고 말했다. 박 전 대표는 지난해 6·2 지방선거와 재·보선 때마다 당 지도부 중심으로 치러야 한다며 나서지 않았고, 무상급식 문제도 “지자체마다 사정과 형편이 달라 이에 맞춰서 해야 한다”는 입장만 밝혀왔다. 한나라당이 자치단체장을 맡고 있는 지역에서도 무상급식을 하는 곳이 적잖은 상황을 반영한 것이다. 친박계 구상찬 의원은 “박 전 대표는 여건이 되면 언제든지 당을 위해 일할 뿐이지 조건을 달고 일하는 분이 아니다”라며 일각에서 제기된 ‘조건부 등판론’에 선을 그었다. 다만 박 전 대표의 대세론은 10월 재·보선의 개입 여부와 한나라당 후보 성적표에 따라 계속 논란의 중심에 설 상황이다.

김문수 경기지사(60)도 재·보선이 여러모로 부담스럽다. 서울시장 선거에서 패배할 경우 유일한 수도권 광역단체장인 그가 경기지사직을 던지고 대권에 도전하는 것은 어려운 선택일 수밖에 없다. 김 지사는 경기도 무상급식에 재정 지원을 해 오세훈 전 서울시장과는 다른 입장을 취했다. 서울시장 선거 결과가 그의 대권 행보에 영향을 줄 상황이 된 것이다.

선별적 복지론을 주장하는 정몽준 전 대표(60)는 오 전 시장의 무상급식 주민투표 결정을 지지했다. 이재오 특임장관(66)은 이달 중 개각으로 당에 복귀한 뒤 처음 맞을 대형 선거에서 어떤 역할을 맡을지 주목되고 있다.

야권 주자들에게는 야권통합이라는 공통과제가 주어져 있다. 손학규 민주당 대표에게 10월 재·보선은 정치적 시험대다. 선거 결과는 그의 리더십에 대한 평가로 연결될 판이다. 지난 4월 분당을 보궐선거 승리 후 상승했다가 추락세인 지지도를 반등시키고, 수도권 주자로서의 상품성을 재확인시킬 수도 있다. 민주당 관계자는 “분당 선거 이후 수도권이 승부처로 부각된 선거에서 손 대표의 존재감이 재평가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손 대표로서는 야권대통합 문제도 풀어가야 할 숙제다. 손 대표가 주민투표 결과를 놓고 “민주당의 승리가 아닌 서울시민의 승리”라고 낮은 자세와 겸손을 강조하는 것도 무관치 않다.

문재인 노무현재단 이사장(58)도 재·보선을 피해갈 수는 없다. 그는 다음달 6일 공식출범하는 ‘혁신과 통합’을 통해 통합의 중재자로 나서고 있다. 재·보선의 후보 단일화에서 스스로 어떤 역할을 하고, 통합의 디딤돌을 놓을 수 있을지 시선을 받을 처지다. 부산 동구청장 선거를 두고는 직접 선거 지원 여부가 관전포인트다. 그는 내년 총선에서 야권의 부산·경남(PK) 선거에 전면 결합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그에 앞서 동구청장 선거가 그의 PK 상품성을 가늠해보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다.

정동영 최고위원(58)은 천정배 최고위원의 서울시장 선거 출마를 지지하고 있다. 후보 경선을 통해 그의 영향력을 재보는 기회가 될 수 있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