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이 2009년 이후 연구과제 중단으로 수십억원의 혈세를 탕진한 것으로 밝혀져 충격을 주고 있다.
국회 농림수산식품위원회 성윤환 의원(한나라·경북 상주)이 공개한 농촌진흥청 국감자료에 따르면 2009~2011년 7월까지 총 13건의 연구과제가 중단돼 성과없이 53억5350만원의 연구비가 허공에 뜬 것으로 드러났다.
중단된 사유를 보면 연구과제에 대한 농촌진흥청의 방만한 연구비 집행실태를 알 수 있다.
중단된 연구과제 13건 중 연말평가 하위 10%과제 7건이며, 책임자의 연구비 횡령, 인건비 유용, 책임자 구속 등의 사유가 6건이다.
특히 바이오그린21사업의 세부과제인 '학습, 기억력 향상 및 치매예방 식의 약품의 산업화'라는 연구수행 중 책임자가 14억9212만원을 횡령해 과제 진행이 중단됐다는 것.
이 과제는 2008~2010년까지 29억200만원의 연구비가 집행됐으며, 농촌진흥청은 고작 2억8300만원만 환수한 것으로 조사됐다.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개발 공동연구사업 운영규정에 따르면 공동연구주관기관 및 협동연구기관의 귀책사유로 협약이 해약된 경우 출연금의 전부 또는 일부를 회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책임자의 귀책사유로 중단된 연구과제 6건에 해당하는 40억3000만원이 집행됐지만 회수한 금액은 9.4%인 3억7800만원에 그쳤다.
그나마 3억7800만원을 회수 할 수 있었던 것은 지난 4월 출범한 연구클린센터 덕분이다.
성윤환 의원은 "농진청이 연도별 2600억 이상의 연구과제 예산을 집행하다보니 몇억 정도는 우습게 생각하는 것 같다"며 "국민의 혈세로 연구과제를 선정하고 연구하는 만큼 과제의 선정, 집행에 엄격한 관리와 환수조치를 철저히 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뉴시스 제공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