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매거진=천선희 기자]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윤상직)은 한빛 원전과 고리 원전에 대해 보안감사 결과 아이디와 비밀 번호 외부 유출이 확인되면 논란이 커지고 있다.
3일 산업통상자원부는 "한빛원전과 고리원전에 대한 보안감사를 실시한 결과 직원 19명이 아이디와 비밀번호 협력업체인 방사성폐기물 관리업체에 넘겨준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보안감사는 지난 9월 한산원전에서 한수원 직원이 아이디를 유출했다는 언론 보도가 나온 이후 이뤄졌다.
감사 결과 한수원은 직원 19명이 스스로 해야할 일은 용역업체에게 맡기기 위해 아이디-비밀번호를 무단으로 알려준 것으로 드러났다. 용역업체 직원들은 이 정보로 전산시스템에 접속해 작업허가서를 승인하고 폐기물 반출허가를 내린 것으로 확인됐다. 즉 용역업체가 외부 감시를 받지 않고 방사성 폐기물을 외부에 무단으로 버릴 수 있었다는 것이다.
이번 문제는 발전소별로 방사선 관리·감독 업무를 책임지는 근무 직원이 4인 3교대 방식에 따라 1명밖에 없는 등 구조적인 원인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산업부 측은 경부 경주시 월성원전과 경북 울진군 한울원전에서도 이런 보안문제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지만, 전산시스템 접속기록 관리 기간이 3일에 불과해 무단 접속자가 있었는지 여부를 제대로 규명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또한 원전 내의 보안 시스템에서도 문제가 드러났다. 발전소 운영지원용으로 설치된 관제시스템(CCTV)의 경우 설치근거 없이 발전소 별로 독자 운영하고 있으며, 시설점검 주기가 6개월로 되어 있어 실효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학인됐다. 또한 아날로그 방식의 기기가 77%로 달해 고장도 잦으며, CCTV 영상물 저장기간도 지정하지 않고 운영됐다.
이에 산업부는 아이디·비밀번호 추가 유출과 내부자료 유출여부에 대한 철저한 진상 규명을 위해 외부전문기관에 정밀조사를 요청하기로 했으며 조사결과에 따라 관련자 전원을 일괄 엄중 문책하기로 했다.
한편 원전발전소의 업무진단을 통한 협력업체 역무범위를 재조정할 예정이다. 또 전산접속 기록 설정기간과 CCTV영상물 보관기간 연장, 노후 CCTV교체 등 제도적 개선책도 바로 착수한다. [출처=방송화면 캡쳐]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