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매거진=이상은 기자] 이동통신3사가 아이폰6 대란에 대해 언급하며 공동사과문을 발표하고 재발 방지에 나서기로 했다.
지난 2일 일부 대리점 및 판매점들이 아이폰16GB 모델에 대해서 현금으로 완납할 경우 10만 원, 할부원금 17만 원, 당일 페이퍼백 44만 원 등을 지원해 아이폰6 시리즈를 10~20만 원 대에 판매했다.
보조금 차별을 금지하기 위해 단말기 유통구조(단통법)이 시행했음에도 불구하고 법 이전의 행태들이 다시 재연됐다.
정부가 나서 아이폰6 대란을 일이킨 이동통신사들에게 엄중 경고하며 일벌백계하겠다고 밝혔다. 더불어 이동통신사의 최고경영자 및 임원에 대한 형사처벌까지 불사하겠다고 나섰다.
이어 방송통신위원회 관계자는 "현재 불법 영업을 한 대리점들에 대한 조사를 착수했다. 형사처벌을 예정하고 조사하지 않겠지만 결과에 따라 가능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러한 정부의 발표에 대란에 참여했던 판매점과 대리점 역시 타격은 만만치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일부 판매점에서는 다소 늦게 신청한 신규 고객의 개통을 취소했으며 심한 경우 판매기기를 직접 회수하고 나섰다.
하지만 일단 개통이 완료되고 고객이 직접 수령한 아이폰6의 경우는 개통철퇴를 하기 힘들다. 한 번 포장을 뜯은 경우 아이폰6를 처리할 방법도 없을뿐더러 대부분 번호 이동이기 때문에 기존 통신사를 해지해 다시 돌려야 하는데 모든 고객들의 해지를 돌이키는 일은 사실상 불가능한다.
진퇴양난에 빠진 이동통신사들은 지난 4일 오후 긴급회의를 통해 공식 성명 발표를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 통신사 관계자는 "현재 사과문안을 최종 검토 중이며 오전 중으로 발표할 예정이다. 어제 저녁부터 사과문에 대한 기류가 형성됐고 오늘 아침 긴박하게 결정됐다"며 "아이폰6 대란은 이통사가 주도하지 않았지만 어떤 식으로든 사과는 해야 할 부분이어서 전반적인 내용을 담을 예정이"고 밝혔다.
한편, 이번 아이폰6 대란이 불거진 것에 대해 대리점과 판매점 이통사 뿐만아니라 방통위와 미래부 등 국가의 허술한 정책에 대한 비난의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더불어 단통법이 정말 소비자들에게 올바른 정책인가에 대한 논란 불거질 것으로 보인다. [출처=방송화면 캡쳐]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