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세 정년 의무화로 바뀐다…대기업들 임금체계 개편

경제 / 전성진 / 2014-12-16 17:52:22
정년 이후부터 임금피크제 도입하겠다는 기업 23.2% 월급.JPG

[데일리매거진=전성진 기자] 대기업들이 60세 정년 의무화가 시행되면 임금피크제 등 전반적인 임금체계를 개편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16일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여론조사기관 리서치앤리서치와 함께 '정년 60세와 노동시장 변화'에 대해 조사한 결과(매출액 상위 500대 기업 중 종업원 300인 이상 181개 기업 응답)에 따르면 300인 이상 대기업 10곳 중 7곳이 60세 정년시대에 임금피크제 등 전반적인 임금체계 개편을 추진할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는 명예퇴직 등으로 규정된 정년보다 일찍 퇴직하는 기업이 21.5%, 정년을 거의 채우지 못하는 기업이 16.6% 등이었다.

이들 조사 대상 기업의 취업규칙상 정년은 평균 58.2세로 나타났다. 60세 이상을 정년으로 한 기업이 28.7%로 가장 많았고 55세 23.2%, 58세 22.7%, 57세 12.2%, 56세 9.4% 순이다.

특히 오는 2016년 60세 정년 의무화가 시행되면 75.7%의 기업이 임금피크제 도입이나 임금체계 개편 등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응답했다.

이 경우 임금피크제를 도입하거나 전반적으로 임금체계를 개편하겠다는 기업이 32.0%, 기존 정년 이후부터 임금피크제를 도입하겠다는 기업 23.2%, 이미 운영 중인 임금피크제를 연장하겠다는 기업 20.5% 등이었다.

임금피크제 도입을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임금피크제 의무화 법안 입법 28.2%, 임금피크제 도입 시 재정 지원 강화 27.6%, 노조 및 근로자의 협조 25.4%, 임금피크제 도입을 취업규칙 불이익변경으로 보지 않을 것 17.1% 였다.

한편, 2016년 60세 정년 의무화가 신규채용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해서는 매우 부정적 32.6%, 다소 부정적 39.8%였고, 별 영향없음 26.0%로 나타났다. [사진제공=방송화면]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