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매거진=이상은 기자] 국제 유가가 내년 2분기까지 계속 하락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19일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향후 유가전망과 유가 하락에 따른 영향 분석'이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이 전망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의 비전통 석유(셰일오일) 업체들을 고사시키려는 사우디아라비아와 저유가를 감내하더라도 셰일오일 생산을 유지하려는 미국의 파워게임이 펼쳐지면서 내년 2분기까지 유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2015년 국제유가(두바이유 기준) 평균은 올해보다 25% 하락한 75달러 가량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유가 하락은 아시아 국가의 물가 안정 등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온다는 분석이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유가가 10% 하락할 경우 우리 GDP 성장률은 0.19% 포인트 높아지는 효과가 발생할 것"이라고 밝혔다. 유가가 배럴당 60 달러로 하락할 경우 국내 GDP의 2.4%에 해당하는 원유 수입 비용이 절감됨으로써 소비 및 투자 여력이 증가할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골드만삭스 역시 유가가 20% 하락하면 한국 GDP 성장률이 1.0% 포인트 높아질 것으로 추정했다.
다만 정유·건설·조선 등의 업종에 대해서는 유가 하락이 부정적인 영향을 가져올 것으로 분석됐다.
한편, 유가 하락이 정유업종 마진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감안하면 정유업종은 당분간 수익성 회복을 기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사진제공=방송화면]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