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매거진=소태영 기자] 설 명절을 앞두고 세뱃돈으로 쓸 신권을 구하려는 소비자들의 발걸음이 분주해지고 있다.
10일 금융권에 따르면 시중은행의 각 지점은 이르면 11일부터 설 명절에 세뱃돈으로 쓰일 신권을 본격적으로 배부한다. 일부 지점에서는 ‘11일부터 12일까지 신권을 나눠드립니다’라는 내용의 게시물을 출입문이나 현금입출금기(ATM) 주변에 붙여놨다.
농협은행은 평균적으로 1만원권은 1인당 20만원, 5만원권은 50만원의 한도를 둘 예정이다.
농협은행 관계자는 "세뱃돈은 보통 1만원권을 많이 주기 때문에 5만원권보다 1만원권이 더 부족하다"며 "통상 신권 배부일로부터 이틀도 못 돼 신권이 바닥나기 때문에 신권 확보를 위해서는 서두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국민은행은 국내 최대 영업망을 가진 은행답게 신권 배포액도 많다. 지점마다 적게는 2억원, 많게는 4억원의 신권을 확보한다. 1만원권의 경우 작은 지점도 4000만~5000만원씩 갖고 있지만 이마저도 금방 소진된다.
한은 관계자는 "설이 낀 상반기에 수요가 많아 올해는 상반기 배정 비율을 높였다"고 밝혔다. 하지만 1만원권 부족 현상은 한은의 화폐 교환 창구에서도 이미 나타나고 있다.
한은 전북본부 창구는 평소 1만원권을 1인당 100만원까지 교환해줬으나 지난 6일부터 50만원으로 한도를 축소했다.
이와 관련, 한도 축소를 모르고 창구를 찾았다가 원하는 수량만큼 바꾸지 못한 한 이용자는 "집이 시골이어서 기름값만 1만원이 든다"면서 융통성 있는 업무 처리를 바란다는 내용의 민원을 제기하기도 했다.
한편 하나은행 관계자는 "1만원짜리 신권을 영업점당 3000만원으로 제한해 신권 부족 사태가 일어나는 것은 어쩔 수 없다"며 "'세뱃돈은 깨끗한 돈이면 충분하다'는 내용의 팸플릿을 지점마다 비치해 소비자들에게 홍보하고 있다"고 말했다. [사진제공=방송화면]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